A Study on the Failure Characteristic of Laminated Composites Joint Containing Two Holes in Series or Parallel

복합적층판의 직병렬 유공 접합부의 파손연구

  • 송관형 (충남대학교 선박해양공학과)
  • Published : 1995.05.01

Abstract

A series of test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failure strength and the failure mode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laminates joint containing two holes in Series or Parallel. $[0^{\circ}/45^{\circ}/90^{\circ}/-45^{\circ}]_s$ laminate with W/d(Side distance ratio) 4.0 and E/d(Edge distance ratio) 3.0 has the full bearing strength and are preferable in case of the good efficiency in two series hole.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esting results and predicting values of the FEM model. Good agreements were fecund between them except the case of $E/d=2{\sim}3$. In the case of $G_h{\geq}3.0d$ and $G_v{\geq}3.0d$ since the interaction coefficients between two parallel holes and between two series holes were small, holes can be treated as independent. The Acoustic Emission(AE) and SEM method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 initial defects, damage and the fracture mechanism.

2개의 직렬 흑은 병렬로 원공이 배치된 $[0^{\circ}/45^{\circ}/90^{\circ}/-45^{\circ}]_s$ 복합적층판에 대하여 기계적 접합부의 강도 및 파손양상을 알아보고, 기하학적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파손강도 및 파손모드에 대하여 FEM으로 예측한 값과 실험결과로 얻은 자료, 그리고 실험식으로 계산한 값을 각각 비교 검토했다. 두 직렬 원공이 있는 적층판의 기계적 접합에 있어, $W/d{\geq}4.0$$E/d{\geq}3.0$의 기하학적 범위에서 Full bearing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두개의 병렬 및 직렬원공인 경우, $G_h{\geq}3.0d$(원공간의 수평거리가 직경의 3배 이상)이고, $G_v{\geq}3.0d$(원공간의 수직거리가 직경의 3배 이상)이면 원공간의 상호간섭효과는 작게 되어, 각각의 원공들을 독립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복합재료의 특성파악에 알맞은 비파괴 시험법인 AE을 이용했고 미시적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파단면을 촬영하여 탐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