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Economic View in Literatures and Documents of Cho-sun Dynasty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가족경제생활관

  • 이길표 (성신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ept its contents as lessons for today and to search for the correct way to lead home economy of the future by way of retranslating home economic view in literatures and documents of Cho-sun Dynasty(1392-1910) Through studying Cho-sun's literatures and documents: 「Ne-hun」 by the queen So He 「Kyou-dyoung-yo-ram」by Lee Whang 「Kyung-mong-yo-kul」by Lee Yul 「Song-ho-sa-sul」by Lee IK 「Sa-so-jol」by Lee Duk Moo「Buk-hak-ee」 by Park Je Ka 「Mok-min-sim-su」 by Jung Yak Y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view of income: 1) Cut down on the too much greed of property (property income) 2) Work hard with diligence(earned income). 2. The view of expense : 1) Get food clothing and housing with frugality 2) Spend money for home rites and reception of guests with manner and truth without extravagnace. 3. The view of buying and selling: Buy and sell with credit. 4. The view of borrowing and lending: Borrow and lend money honestly,. 5. The view of home book-keeping : Keep home book-keeping every day. 6. The view of economic preparation : Save for a rainy day wisely.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의 실학사상 강만길(외)
  2. 북학의 박제가
  3. 한국사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사학과교수실(편)
  4. 내훈 소혜왕후 한씨;정양환(역)
  5. 내훈 소혜왕후 한씨;김종권(역)
  6. 계녀서 송시열;김종권(역)
  7. 한국의 경영사상 양창삼
  8.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조선시대 교훈서를 통해 본 자녀양육 우영희
  9. 연구론문집 no.6 이조시대 경제관념에 관한 연구 이길표
  10. 사소절 이덕무;김종권(역)
  11. 소비생활연구 no.7 규범류를 통해 본 조선조 가정의 경제생활에 관한 일고찰 이영미
  12. 격몽요결 이율곡;김성원(역)
  13. 성호사설 이익
  14. 규등요람 이황(전)
  15. 목민심서 정약용;다산연구회(역)
  16.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정약용의 가정교육관에 관한 연구 지영숙
  17. 박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율곡의 가정교육관 연구 홍달아기
  18.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율곡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황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