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Strength Development of High PFA Concrete

PFA 함유량이 높은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5.02.01

Abstract

The strength development of PFA concretes were invest~gated in this study. The work undertaken was divided into two parts which considered both the influence of PFA replacement level up to 45% and the effect of cement type at the high PRA leveI(45%). The additiorlal cement considered included a rapdhardemng portland ccnlent. The full range of concrete struc tural grades were studied anti ciight cu~ing contlltiorls covering those 11:ied 111 practlce were examined. The early strength retluced wit11 increasing PFA content. However, post 28days, the reverse was observed. It was posslhle through the use of rapid hardening portland cement at the high PFA level to achieve similar early strength to OPC concrete, with the same benefits noted above also being obtained post 28 days. The compressive strength uf hlgh PYA content concrt:tes at hgh temperature m 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ccmtrol at all ages hoth in water and alr. The same trends were observed at low t.ernperature in air. However, the reverse occur-ed at the low temperature In water.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구조물 설계의 기본요소이며, 압축강도의 증진전개 과정을 통하여 전반적인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특성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애쉬(OPC/PFA)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보통 (OPC)콘크리트보다는 낮은 조기강도를 보여 주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전까지), 그리고 압축강도의 차이점은 콘크리트에 섞은 PFA의 양이 증가할수록 커졌다(애쉬에 의한 시멘트 대체량은 15%, 30% 그리고 45%). 그러나 비록 높은 비율의 애쉬량을 콘크리트에 사용했어도 (대체량 45%) 조기강도 시멘트를 사용한 애쉬( RHPC/PFA 45) 콘크리트의 조기강도는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한 강도를 보여 주었다. 28일에서 3년까지의 강도실험에서는 애쉬 콘크리트가 포졸라닉(pozzolanic)영향에 의햐여 보통 콘크리트 보다 항상 높은 강도를 보여 주었다. 보통 양생온도 조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는 (5$^{\circ}C$ 그리고 5$0^{\circ}C$) 애쉬 콘크리트가 항상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건조 양생시 낮은 양생온도 조건에서는 보통 콘크리트가 더 높은 압축 강도를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