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ertical Bearing Capacity of Pile using the Maximum Curvature Method

최대곡률 방법을 이용한 말뚝의 연직지지력 연구

  • 류정수 (정회원, 브니엘 컨설턴트 대표) ;
  • 김석열 (정회원, 농어촌진흥공사 농공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95.12.01

Abstract

Although the pile Load tes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s to predict the bearing capacity of a pile, it has a considerable difficulty of requiring a large amount of weight to enable the test pile to be loaded sufficiently until the yielding or ultimate load is obtained. Many graphical and mathematical methods have been attempted to estimate the bearing capacity from the result of a vertical load test without loading to failure. In the previous work an analytical method to estimate the failure load using the maxi mum curvature which was based on the Southwell's theory was presented by the author. The failure load, as proposed by Crowther, should be defined as the load at which the predefined that criteria are exceeded. The allowable loads by Davisson's method and DIN 4014 were compared with the loads of piles using the maximum curvature, and this paper proposed the allowable load in which the safety factor of the maximum curvature was 2.5. As a result of study, it wa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allowable load determined by the maximum curvature method could estimate the vertical bearing capacity from the pile load test without loading to failure.

말뚝의 재하시험이 연직지지력을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시험 말뚝을 극한하중까지 도달하도록 충분히 재하시킨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며, 이와 같이 파괴시까지 재하하지 못한 말뚝의 연직재하시험의 결과로부터 지지력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해적 방법과 수학적 방법이 시도되었다. 파괴하중을 추정하기 위하여 Southwel 연 이론을 기초로 최대곡률을 이용한 해석적 방법이 필자 등에 의하여 발표된 바 있다. 여기서 파괴하중은 Crowther가 정의한 바와 같이 특정한 기준 을 초과하였을 때의 하중으로 정의하였다. 본 논문은 최대곡률 방법에 의한 허용하중을 결정하기 위하여 Davission의 방법 및 DIN 4014의 허용하중과 비교하여 최대곡률 방법의 안전율을 2.5로 제안하였다. 그 결과 파괴시까지 재하하지 못한 연직재하시험의 결과치로부터 말뚝의 연직지지력을 추정 하는데 있어서 최대곡률 방법에 의한 허용하중의 결정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현장 말뚝재하시험 보고서 고려기초연구소
  2. N현장 말뚝재하시험 보고서 고려기초연구소
  3. K현장 말뚝재하시험 보고서 고려기초연구소
  4. D현장 기초항 설계 및 시공 농업진흥공사
  5. G현장의 Pile Load Test Report 대림산업기술연구소
  6. 한국농공학회지 v.31 no.2 말뚝의 연직재하시험에의한 지지력 결정에 관한 연구 류정수;김석열
  7. Y현장 기초항타 및 재하시험 보고서 포항종합제철
  8. 관입말뚝에 대한 연직재하시험시 항복하중의 판정법 v.5 no.1 홍원표;양기석;이장오;성안제;남정만
  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13 no.3 말뚝재하시험에서 최대곡률을 이용한 지지력 추정 황정규;류정수
  10. 土と基礎 v.31 no.12 中國にぉける 場所打ちコソクり-ト杭の鉛直技待力の評價 沈保漢
  11. 土と基礎 v.23 no.7 戟荷試驗から技待力を判定するぅぇでの問題點 吉成元伸
  12. Proceedings of the 2nd Southeast Asian Conf. on Soil Engineering Estimation of the Ultimate Load of Pile from Tests not Carried to Failure Chin,F.K.
  13. Journal SMFD v.97 no.SMG Pile Tests-Arl-kansas River Project Chin,F.K.;Discussion
  14. Proceedings of the 3rd Southeast Asian Conf. on Soil Engineering The Inverse Slope as a Predicti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Piles Chin,F.K.
  15. Proceedings of the 8th ICSMFE v.21 Behavior of Piles in Alluvium Chin,F.K.
  16. Geotechnical Engineering v.9 Diagnosis of Pile Condition Chin,F.K.
  17. Load Testing of Deep Foundations Load Testing of Deep Foundations Crowther,C.L.
  18. Journal SMFD v.89 no.SM1 Hyperbolic Stress-Strain Response: Cohesive Soils Kondner,R.L.
  19. Theory of Elastic Stability Timoshenko,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