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nfucian Philosophies and Taoist Docrine in the Landscape Style of Palaces in Chosun Dynasty

조선조 궁궐조경양식에 나타난 유가.도가적 사상

  • 진상철 (동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조경학과) ;
  • 최기수 (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 조경학과)
  • Published : 1995.01.01

Abstract

Landscape Style would take various influences in general. In that of Korean Palaces religious thinking has been caused he most important factor. This conceptual attitude has been derived from Confucian philosophies and the doctrines of Taoism, the realm of ideas that had constituted the schema of culture through long times in the Orient. This paper has dealt with the influences of one's outlook on the universe, antropocentricism, and on the relationships of man and nature in those two major teachings upon the landscape style of palaces in Chosun Dynasty. The Confucian philosophies and the doctrines of Taoism in Taosim in palaces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 composition of exterior spaces had been understood as a place for moral training and political morality in the world view of Confucious. 2. The view point on court circle with plants and trees had directed to the influences of beauty upon the human spirit, and it is clear in naming attitude. 3. The composition type of void and solid in palaces would focused on the completion of Confucian thoughts totally, and the method of a unit space is same. 4. The double symbolic ideas could be find out in the components of exterior space; one is Confucian in phenomena, the other is Taoism in meaning. This can be cleared in Pangji(方池), layout of natural features, and in planting methods. As a conclusion, the common spiritual base in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n old palaces can be understood as two major thinkings; Confucian philosophies and the doctrines of Taoism.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의 궁궐 이강근
  2. 서울학세미나 조선시대의 궁궐건축계획 이강근
  3. 문화재 연구소 東闕圖
  4. 造景史 윤국병
  5. 東洋造景文化史 정동오
  6. 朝鮮朝 庭園의 原型 유병림;황기원;박종화
  7. 한국조경학회지 no.11 韓國庭園의 池塘形態 및 構成에 대하여 정동오
  8. 한국의 정원 정동오
  9. 韓國의 風水思想 최창조
  10. 道家思想의 硏究 이강수
  11. 한국 도교사상 연구 차주환
  12. 老子와 道家思想 김학주
  13. 道敎란 무엇인가 酒井忠夫;최준식(역)
  14. 韓國의 住居民俗誌 김광언
  15.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조선시대 읍지의 성격과 지리적 인식에 관한 연구 양보경
  16.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전통건축의 배치에 대한 지리체계적 해석에 대한 연구 이원교
  17. 건축문화 no.10월 慶會樓.한국건축과 주역의 원리 김동욱
  18.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朝鮮時代 宮闕建築의 空間利用에 관한 硏究 김정희
  19.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李朝宮闕 後園의 庭園手法에 관한 硏究 최영진
  20.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연구 이재근
  21. 서울대 박사 학위 논문 누각 및 정자양식을 통한 한국 전통정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안계복
  22.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曲과 景에 나타난 韓國 傳統景觀構造의 解釋에 관한 硏究 최기수
  23. 삼불 김원룡 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경주안압지와 창덕궁 후원(비원)의 비교 고찰 정재훈
  24. 韓國儒學史 배종호
  25. 유가와 한국사상 금장태
  26. 韓國儒學의 哲學的 전개 배종호
  27. 韓國儒學史 이병도
  28. 동양철학의 이해 이남희(역)
  29. 환경과 조경 동양삼국의 조경양식 비교 양병이
  30. 서울대석사논문 창덕궁의 변천에 관한 연구 우동선
  31. 서울대 석사논문 조선시대 궁궐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홍선기
  32. 창덕궁 원유 문화재 관리국
  33. 한국전통건축 제2집 대한 건축사 협회
  34. 조경학개론 오휘영;이일구(역)
  35. 宮闕誌 v.3 서울학자료총서
  36. 중국건축개설 양금석(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