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위스콘신주의 올프리버 저반에 대한 황동위원소 연구

Sulfur Isotope Study on the Wolf River Batholith, Wisconsin in U.S.A.

  • Sun-Joon Kim (Department of Mineral and Petroleum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Yuch-Ning Shieh (Department of Earth & Atmospheric Sciences, Purdue University)
  • 발행 : 1995.12.01

초록

울프리버 저반의 화강암질 심성암체의 황함량과 황동위원소는 각각, 30~150 ppm 및 1.1~6.5 permil의 조성범위를 보이며, 마그마 기원으로 판단된다. 주변 모암인 피노키안 심성암체의 황함량과 동위원소 조성은 각각, 31~381 ppm과 -1.7~7.2의 범위로서 울프리버 저반의 직접적인 근원 암이 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피노키안 심성암체와 울프리버 저반의 화강암체들의 산소와 황동위원소 조성이 상당히 뚜렸한 선형의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은 심부 지하가 근원인 본원마그마에 의한 피노키안 심성암체의 동화작용, 또는 심부에서 본원 마그마와 좀 더 높은 산소 및 황동위원소 조성을 갖는 또 다른 마그마와의 혼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Sulfur isotope compositions have been determined for the granitic and related rocks from the Wolf River Batholith, Wisconsin in U.S.A. Sulfur content and isotope composition of granitic rocks of the Wolf River Ratholith range from 30 to 140 ppm and from 1.1 to 6.5 permil respectively, and are considered to be magmatic. Sulfur content and isotope composition of the Penokean plutonic rocks, surrounding country rocks, range from 31to 381 ppm and from -1.7 to 7.2 permil respectively. The positive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sulfur and oxygen isotope data of granitic rocks and the Penokean plutonic rocks may be due to the assimilation of the Penokean plutonic rocks by a primary magma of deep-crustal origin, or to mixing at depth, of a primary magma with another magma having higher ${\delta}^{18}O$ and ${\delta}^{34}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