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 Liposomes Containing Antibody

항체를 포함하는 Phosphatidylethanolamine 리포좀의 제조와 그 특성

  • 박성호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 신현재양지원최태부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공학과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Published : 1995.05.01

Abstract

A target-sensitive liposome was prepared by using a dioleoyl-phosphatidylethanolamine(DOPE) and a palmitic acid coupled antibody(p-IgG). For the preparation of stable PE-liposomes, the key factors such as antibody modification method with palmitic acrid, molar ratio of p-IgG to lipid and the amount of various additives, were examined. The optimum molar ratio of p-IgG to lipid was found to be $2.5{\times}10^{-4}$ and the final concentration of deoxycholate for the stable liposome formation was about 0.09%. Two kinds of target-sensitive liposomes, containing polyclonal anti-SRBC(Sheep Red Blood Cell)-antibody and monoclonal anti-${\beta}$-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antibody, were successfully prepared. The destabilization of liposomes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release of calcein entrapped in the liposome vesicles. Calcein was released only when the liposomes were contacted with the specific target cells. The calcein release with non-specific target cells was negligible. From this result, it is clear that p-IgG is indispensible for the maintenance of stable PE-liposome and the calcein release is mainly due to the specific interactions between the liposomes containing antibody and the target cells containing antigen.

인지질 그 자체만으로는 안정한 이중층 리포좀을 형성하지 못하는 불포화 PE(DOPE)에 palmitoyl가 가 결합된 항체(p-IgG)를 지질층에 삽입시켜 lmm t unoliposome을 제조하고 그 특성에 관하여 살펴 보 았다. 우선 안정된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서 고려 해야할 인자들로 항체 가공방법, 지질과 항체와의 몰 비, 그리고 각종 첨가제들에 대한 최적 조건을 조 사하였다. 예를 들면 p-IgG와 lipid의 볼비를 $2.5{\times}10^{-4}$ 으로 했을 때 안정한 리포좀을 만들 수 있었으며, 첨가제로 들어가는 DOC의 경우 최종 농도가 O.09wt % 일 때 calcein의 포집률이 최대가 되었고 c calcein의 최종 pH는 8.5~9.5 정도에서 안정한 라포좀이 제조될 수 있었다. 다중 빛 단일클론의 항체 를 삽입한 리포좀을 표면항원을 가진 표적세포와 결합시켰을 때 리포좀이 와해되면셔 포집된 calcein이 방출되는 것으로 보아 삽입된 p-IgG가 PE 리포좀을 형성하는데 필수척임을 알 수 있었다. 또 같은 리포좀을 비특이적인 세포와 접촉시켰을 때에는 아무 런 변화를 보이지 않아 calcein 방출이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고 이로부터 표적 민 감성 PE 리포좀이 만들어졌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