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한국어 형태음운현상 연구

A Study of Morphophonemic Processes of Korean using Neural Networks

  • 이찬도 (대전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Lee, Chan-Do (Dept.of Computer Information Communication, Engineering, Daejeon University)
  • 발행 : 1995.03.01

초록

언어에서 단어가 차지하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어를 구성하 는 음운론적, 형태소론적 요소에 관한 계산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대개의 전통적 언어학 이론은 추상적인 기저구조와 일련의 명시된 규칙들을 가정함으로 해서 형태음 운현상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방법은 (1) 기저구조의 가정, (2) 규칙의 발 견, 그리고 (3) 규칙간의 상호관계 등에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신 경망이 단어를 구성하는 음소열과 그 단어의 의미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규칙은 생겨난 다는 가정에서 시작한다. 다양한 국어의 형태음운현상에 대한 실험결과는 인공신경망 이 규칙이나 기저구조의 도움없이 형태음운현상을 학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Despite their importance in language,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computational studies in understanding words. This paper describes how neural networks can learn to perceive and produce words. Most traditional linguistic theories presuppose abstract underlying representations (UR) and a set of explicit rules to obtain the surface realization. There are, however, a number of questions that can be raised regarding this approach: (1) assumption of URs, (2) formation of rules, and (3) interaction of rules. In this paper, it is hypothesized that rules would emerge as the generalizations the network abstrac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to associate forms with meanings of the words. Employing a simple recurrent network, a series of simulations on different types of morphophonemic processes was run.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s show that this network is capable of learning to perceive whether words are in basic from or in inflected form, given only forms, and to produce words in the right form, given arbitrary meanings, this eliminating the need for presupposing abstract URs and rul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