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굴큰입흡충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nlcture of metacercaria and adult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mnnophallidae)

  • 최민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박원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풍토병연구소, 삼성의료원 성형외과)
  • 발행 : 1995.12.01

초록

참굴큰입흡충(GMmophoHo썼esseoi)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큰 구흡반과 측면돌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제1형 감각유두가 구흡반 구순을 따라 원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었다. 또, 제1형 감각유두가 유충의 복측 양쪽으로 일렬로 길게 배열되어 있었다. 복흡반의 전방에 위치한 ventral pit는 근육성으로 잘 발달하였고 제1형 감각유두가 밀집해 있었다. 복흡반의 구순에는 제1형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피극은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의 복측 중앙부를 제외한 전 표피에 분포하였으며 구흡반 주위에는 3-5분지된 피극이 덮혀 있었으나 후방으로 갈수록 피극의 크기와 밀도가 감소하였다. 감염 3일된 성충은 양 말 단이 뽀쪽한 마름모 모양이었으며 감각유두의 분포는 피낭유충에서 관찰되는 양상과 비슷하였으나 피낭유충에서 관찰런 일렬로 배일과 감각유두는 관찰되지 않았다. 피극은 피낭유충의 경우보다 크기가 더 커지고 많이 분지되었다. Ventral pit는 성충이 되면서 현저하게 발달하였으며 감각유두의 수도 증가하였다. 참굴큰입흡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나경흡충과(나경흡충과)의 충체들과 차이점이 있었으며. 피낭유충과 성충의 미세구조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점은 광학현미경에서 관찰된 양상과 비슷하였다. 또 ventral pit의 모양과 감각유두의 분포로 보아 충체가 기생부위에 흡착할 때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만으로는 정확한 기능을 추측하기 어려웠다.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metacercariae and adults of Gymnophallokles seoi, the only known gymnophallid infecting humans,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acercariae were ovoid or pyriform in shape and slightly concave ventrally. The oral sucker had two sizes of type I papillae, small and large, encircling its lip. Type I papillae were arranged in a row on both side oi the body. The ventral pit had several type I papillae on its inner surface. The ventral sucker was covered with cobble-stone like cytoplasmic processes and had 6 type I papillae on its lip. The surface of the body was covered with the tegumental spines except for the ventromedian area between the two suckers. The spines at anterior body were digitated into 3-5 points, and their size decreased at posterior one third or the body. Adult worms were rhomboid or ellipsoid in shape and covered with tegumental spines except for the ventromedian area. The shape and distribution of the tegumental spines and sensory papillae were similar to those of metacercariae. However, sensory papillae arranged in a row on the ventral surface of metacercariae were not observed in adults. The ventral pit became larger and more prominent as the fluke grew. It is suggested that the ventral pit function as an additional adhesive organ to the host tissu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