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CRANIOFACIAL GROWTH CHANGES OF ADOLESCENCE WITH NORMAL OCCLLUSION

청소년기 정상교합자의 악안면 성장에 관한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 의한 누년적 연구(Ricketts분석법에 의한 연구)

  • KIM, Yun-Jeong ;
  • Park, Kyung-D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Oh-Won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윤정 (대구효성카톨릭대학병원 치과) ;
  • 박경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권오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95.06.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cephalometric standards and growth changes necessary to create the Growth Forecast without Treatment at adolescence. The data from biennial serial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25 male and 21 female subjects aged from 8 to 16 years of Normal Korean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ere no significant value changes of facial axis angle, fn to palatal plane angle, BA-NA-A angle, lower facial height and lower incisor protrusion as the age increased. 2. From continuous increasing measurements(anterior and posterior cranial babe length, facial axis length, condyle axis length, corpus axis length), the annual growth changes, average annual growth changes and changes for 8 years were obtained. 3. From continuous increasing measure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in most annual growth changes after age of 12 years, average annual growth changes and changes for 8 years (p<0.05). 4. All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plotted by using X-Y plotter and personal computer. The visual norms for both sexes were obtained. There was considerable growth, for male, for each period especially the most remarkable growth from the age of 12 to 14. For female, the upmost growth was showed from the age of 10 to 12, and gradually decreased since then.

경북대학교 치과 대학에서 두개안면골 성장에 관한 누년적 연구의 일환으로 남자 25명, 여자 21명을 대상으로 평균 연령 8.5세에서 16.5세까지 격년 간격으로 촬영한 두부X선 규격사진을 이용하여 Ricketts분석법의 항목중 V.T.O.작성의 초기 단계인 치료전의 성장 예견시에 필요한 각도 및 거리 계측 항목을 선정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계측항목중 연령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는 항목은 성장 방향을 나타내는 facial axis angle, FH to palatal plane angle, BA-NA-A angle, lower facial height 및 lower incisor protrusion이었다. 2. 연령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항목(anterior and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facial axis length, condyle axis length, corpus axis length)에서 연간 성장 변화량, 평균 연성장량 및 8년간 변화량을 구하였다. 3. 연령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든 계측 항목에서 12세 이후의 대부분의 연간 성장변화량, 평균 연성장량 및 8년간 변화량에서 남녀간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4. 남녀별로 각 연령에서 각 계측치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visual norm을 작성하였다. 남자의 경우 각 기간동안 상당한 성장을 보였으며 특히 12-14세 기간에 가장 많은 성장을 나타내었고, 여자의 성장 변화에서는 10-12세 사이에서 가장 많은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점차 감소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