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rement of Germanium Contents in Angelica keiskei Koidz. and Panax ginseng G.A. Meyer by In Vitro Propagation

명일엽(明日葉)(신선초(神仙草)) 및 인삼(人蔘)의 기내배양(器內培養)을 통한 Germanium 함량(含量) 증대(增大)

  • Published : 1995.11.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ptimum concentration of germanium compounds and pH of medium on the induction and growth of callus from A. keiskei and P. ginseng and to intend to increase Ge. absorption by calli while those calli were subculturing on MS medium. Callus from a. keiskei was rarely induced under light condition. Under dark condition, callus in­duction from A. keiskei was good up to 5ppm, retarded at 50ppm of $GeO_2$, or C. E. Ge. O., and rarely done at 100 ppm of $GeO_2$ but was somewhat well at 100 ppm of C. E. Ge. O. The induction and growth of callus was good in order of pH 5. 7 > pH 5. 4 > pH 6. 0 Under light condition, the growth of callus induced from P. ginseng was poor at $1{\sim}10\;ppm$ of $GeO_2$, or C. E. Ge. O., but shooting from callus occurred frequently. Under dark condtion, the growth of callus from A. keiskei was good up to 5 ppm of $GeO_2$, or C. E. Ge. O. and was rarely done at 50 ppm of $GeO_2$, but was somewhat well even at 100 ppm of C. E. Ge. O. Shooting from callus occurred frequently in a. keiskei, especially at pH 5.7. The growth of callus from P. ginseng was poor at 10 ppm of $GeO_2$, or 50 ppm of C. E. Ge. O. Under dark condition, the amount of Ge absorption by callus induced from A. keiskei was much high­er than that from P. ginseng. The amount of Ge. absorption by callus treated with $GeO_2$, was higher than that treated with C. E. Ge. O.

명조건에서 명일엽의 캘러스 유도와 증식은 $GeO_2$와 C.E. Ge.O. 처리 모두 거의 되지 않았다. 암조건 하의 캘러스 유도는 명일엽에서 $GeO_2$와 C. E. Ge. O. 처리 모두 5ppm까지 양호했고, 50ppm부터 저해되다가 100ppm $GeO_2$처리시는 거의 되지 않은 반면 100ppm C. E. Ge. O. 처리시는 다소 되었다. 명일엽의 캘러스 유도와 증식은 배지의 PH가 pH 5.7 > pH 5.4 > pH 6.0 순서로 좋았다. 명조건 하의 인삼에서는 $1{\sim}10ppm$에서 불량하게 생육하나 신초를 잘 형성했다. 암조건 하의 캘러스 증식은 명일엽에서 $GeO_2$나 C.E.Ge.O. 처리 시 모두 5ppm까지 양호했고, $GEO_2$처리시 50ppm부터 거의 되지 않았으나 C. E. Ge. O. 처리시는 pH5.7의 경우 100ppm에서도 다소 좋았다. 명일엽에서는 캘러스 증식 중 신초 형성이 많았는데 pH5.7에서 현저했다. 인삼에서는 암상태에서 $GeO_2$처리시 10ppm부터, C. E. Ge. O. 처리시는 50ppm부터 불량하면서 갈색으로 변했다. 암조건 하에서 $GeO_2$와 C. E. Ge. O. 의 모든 농도에서 명일엽의 캘러스가 인삼의 캘러스보다 함량이 높았다. 두 식물 모두 동일 농도에서 $GeO_2$처리한 캘러스가 C. E .Ge. O.의 것보다 높았다. 흡수양상에서 있어서는 명일엽의 경우 $GeO_2$는 10ppm까지 급속하게 홉수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완만한 반면 C. E. Ge. O.는 $GeO_2$에 비하여 100ppm까지 완만하게 흡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