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rocessing on the Antimutagenicity of Rice

쌀의 돌연변이 억제활성에 미치는 가공처리의 영향

  • Kim, In-Ho (Rice Utilization Research Center,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Chun, Hyang-Sook (Rice Utilization Research Center,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Ha, Tae-Youl (Rice Utilization Research Center,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Moon, Tae-Wha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인호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쌀이용연구센터) ;
  • 전향숙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쌀이용연구센터) ;
  • 하태열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쌀이용연구센터) ;
  • 문태화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5.12.3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cessing on the antimutagenicity of rice, antimutagenic effect of rice products including cooked rice, plain steamed rice bread(baikseolgi) and parched rice powder were observed. They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46%{\sim}100%$ on the frameshift mutation, whereas they showed little inhibitory effect on the base substitution mutation in the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No inhibitory effect was found in the SOS chromotest. Inhibitory effect was more clearly observed on the indirect-acting mutagen than on the direct-acting mutagen. In case of the S. typhimurium reversion assay, the range of inhibition rate against the frameshift and base substitution mutation was $75%{\sim}100%$ and $66%{\sim}87%$, respectively, and was $19%{\sim}67%$ in the SOS chromotest. Antimutagenic activity of raw rice was supposed to be maintained in processed rice products.

쌀을 cooking, steaming, parching 등의 가공처리 형태로서 밥, 백설기, 미싯가루를 제조하여 methanol로 추출한 후 돌연변이 억제활성의 유지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로 조사하고 SOS Chromotest로 확인하였다. S. typhimurium reversion assay에 대하여 직접변이원 4NQO로 유도한 frameshift type 돌연변이의 경우 $46%{\sim}10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억제활성이 투여농도에 비례하였다. Base substitution type 돌연변이의 경우는 각 가공물의 용매 추출물에서 억제활성이 미약하거나 서의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간접변이원의 경우는 직접변이원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Trp-p-1으로 유도된 frameshift type 돌연변이의 경우 $75{\sim}100%$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FB_1$으로 유도된 base substitution type 돌연변이의 경우는 $66{\sim}87%$의 활성을 보여 직접변이원보다 억제활성이 높았다. SOS chromotest에 대하여는 4NQO로 유도된 돌연변이의 경우 억제활성이 없었으며 Trp-p-2로 유도된 돌연변이의 경우는 19-67%의 억제활성으로 S. typhimurium reversion assay와 같은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쌀의 항변이원성 물질은 rice-cooking, steaming, parching 등의 가공처리에 의해 억제활성이 소실되지 않아 가공 안정성이 있는 물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