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 -수종 미기록속과 종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 - on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

  • 정학성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Jung, Hack-Sung (Department of Micro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and Research Center for Molecular Microb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5.09.30

초록

1994년 5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도합 11차례에 걸쳐 우리나라 전역의 11개 지역을 탐색하여 290점의 목재부후균류의 표본을 확보하고 최근의 분류체계를 따라 자실체의 형태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분류 동정한 결과 도합 15과 54속 70종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하는 종류는 민주름버섯목 균류로서 7과 42속 57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중 고약버섯과에 속하는 융단고약버섯속(신칭(新稱), Botryohypochnus)의 융단고약버섯(신칭(新稱), Botryohypochnus isabellinus), 균열유색고약버섯(신칭(新稱), Phanerochaete laevis), 및 레몬고약버섯속(신칭(新稱), Vesiculomyces)의 레몬고약버섯(신칭(新稱), Vesiculomyces citrinus),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검무른구멍장이버섯(신칭(新稱), Gloeoporus Pannocinctus)과 누런살색구멍버섯(신칭(新稱), Junghuhynia luteoalba), 소나무비늘버섯과에 속하는 배착시루뻔버섯(신칭(新稱), Inonotus andersonii)과 시루뻔버섯(신칭(新稱), Inonotus hispidus), 도합 2속 7종이 국내 미기록으로 판명되었다. 최근 정(1994)은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의 15개 국립공원과 7개 일반 지역 및 2개 도서지역을 탐색한 결과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217종과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추가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0속 224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관악산, 천마산, 지장봉, 소백산, 덕유산, 그리고 설악산에서 채집되었으며, 검무른구멍장이버섯, 배착시루뻔버섯, 및 시루뻔버섯은 모두 참나무, 레몬고약버섯은 단풍나무, 융단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균열유색고약버섯은 향나무, 누런살색구멍버섯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그중 시루뻔버섯은 소백산과 설악산의 살아있는 또는 죽은 참나무의 높은 둥치나 쓰러진 둥치에서 다수 발견되어 우리나라 산악의 특정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종으로 판단되었고, 균열유색고약버섯은 원래 활엽수에 자생하며 간혹 전나무나 소나무에도 부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본 조사에서는 드물게 향나무의 죽은 가지에서 발견되어 본 종이 활엽수뿐만 아니라 침엽수에도 널리 분포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Fresh fungi were collected during field trips to mountain areas throughout the country from May to October of 1994. Through the observation and identification of specimens belonging to the Aphyllophorales, two genera, Botryohypochnus and Vesiculomyces, and seven species, Botryohypochnus isabellinus, Phanerochaete laevis, Vesiculomyces citrinus, Gloeoporus pannocinctus, Junghuhnia luteoalba, Inonotus andersonii, and Inonotus hispidus, were confirmed new to Korea and are registered here with descrip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Fungi of Switzerland, Vol. 2. Non-gilled fungi: Heterobasidiomycetes, Aphyllophorales, Gasteromycetes Breitenbach, J.;Kranzlin, F.
  2. Persoonia v.3 A conspectus of the families of Aphyllophorales Donk, M.A.
  3. Symb. Bot. Upsal. v.16 Studies in the Heterobasidiomycetes and Homobasidiomycetes-Aphyllophorales of Muddus National Park in North Sweden Eriksson, J.
  4. The Corticiaceae of North Europe, Vol. 2,3,4 Eriksson, J.;Ryvarden, L.
  5. The Corticiaceae of North Europe, Vol. 5, 6, 7 Eriksson, J.;Hjortstam, K.;Ryvarden, L.
  6. North American polypores, Vol. 1, 2 Gilbertson, R.L.;Ryvarden, L.
  7. European polypores, Vol. 1, 2 Gilbertson, R.L.;Ryvarden, L.
  8. Colored illustrations of fungi of Japan, Vol. II Imazeki, R.;Hongo, T.
  9. Colored illustrations of mushrooms of Japan, Vol. II Imazeki, R.;Hongo, T.
  10. Fungi of Japan Imazeki, R.;Otani, Y.;Hongo, T.
  11. Mycological flora of Japan, Vol. II. Basidiomycetes, No. 4. Aphyllophorales Ito, S.
  12. Wood-rotting Aphyllophorales of the southern Appalachian spruce-fir forest. Bibliotheca Mycologica Band 119 Jung, H.S.;Cramer, J.
  13. How to identify mushrooms to genus, III. Microscopic features Largent, D.L.;Johnson, D.;Watling, R.
  14. 한국균학회지 v.22 no.1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II)-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의 분포에 대하여 정학성
  15. 한국균학회지 v.6 no.2 한국말 버섯이름 통일안 한국말 버섯이름 통일안 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