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서의 Paraoxonase 대사 다형성

The Paraoxonase Polymorphism in a Korean Population

  • 손동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약리학교실) ;
  • 권준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약리학교실) ;
  • 김형기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약리학교실)
  • Sohn, Dong-Ryul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won, Jun-Tack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yung-Kee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5.12.31

초록

배 경 : 혈청 paraoxonase는 paraoxon, 유기인제 및 carbamate를 가수분해 시키는데 촉매역할을 하는 효소로서 개체에 따라 다양한 활성도를 나타내며 인구집단에서 유전적인 다형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의 혈청 paraoxonase 다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83명의 건강한 자원자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분광흡도계를 이용하여 paraoxonase 및 arylester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palaoxonase/arylesterase의 비를 계산하여 표현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83명의 혈청 palaoxonase/arylesterase의 비의 분포는 삼봉성을 나타내었으며 3종류의 표현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도가 낮은 A homozygote는 19.1%, 활성도가 높은 B homozygote는 22.4% 이었고 AB heterozygote는 58.5% 이었다. 이상의 표현형으로 A allele의 유전자 빈도는 0.437, B allele의 유전자 빈도는 0.563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한국인에서는 parathion 등을 대사시키는 효소인 paraoxonase의 활성도가 높은 B allele가 백인 보다는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다른 동양인들과 비교 했을 때는 거의 같은 빈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Human serum paraoxonase is a polymorphic enzyme that is capable of catalyzing the hydrolysis of paraoxon and other organophosphates, some carbamates and certain aromatic carboxylic acid ester. We have studied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tivity of the serum paraoxonase in a Korean population. Methods : The paraoxonase polymorphism was analyzed in the serum of 183 native, unrelated and healthy Korean subjects. The phenotyping method used was one based on the ratio of paraoxonase/arylesterase. Results : The distribution of the ratio of paraoxonase/arylesterase in the sample was trimodal and it provided a good resolu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three phenotypes : A-homozygotes with low activity; B-homozygotes with high activity; AB-the corresponding heterozygotes with intermediate activity. Gene frequencies were 0.437 for the allele A with low activity and 0.563 fir the allele B with high activity. Conclusion :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Korean subjects have a greater incidence of allele B with high activity compared with that reported from white subj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