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Therapeutic Results on Small Cell Lung Cancer

소세포 폐암의 치료성적에 대한 고찰

  • Kim, Eun-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Lee, Soon-H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Huh, Wo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Kim, Han-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Jo, Jin-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Kim, Mee-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Kim, Sang-K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Kim, Kwi-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Chung, Weon-Ku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 Kim, Soo-K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Background : A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on 153 new case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registered a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Chonju during the 7 years from 1986 to 1992. They were analyzed by sex and age distribution, symptoms and signs, classification of stage and site and its treatments. Especially, an effort was made to compare the overall survival time between limited stage and extensive stage. Methods : Among 806 lung cancer patients diagnosed by biopsy or cytologic evaluation for the 7 years, 153 patients was shown small cell lung cancer. These 153 cases was analyzed retrospectivery through patient's records, letters or telephones. Results :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small cell lung cancer are as follows. Over 85 percent of the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ere over 50 years of age and prominent clinical features were cough(86.3%), sputum(75.8%) and dyspnea(54.9%). One hundred and five patients(68.7%) was staged to have limited stage. Mean survival time of the chemotherapy and chemoradiotherapy in limited stage has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s survivals are 5.3 months and 15.0 months. Patients whose disease was staged as limit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had a median survival time of 10.9 months, compared with 4.8 months for those with extensive stage. Conclusion : Lung cancer is one of the malignant diseases tend to increase gradually in Korea and proven to be the most common cancer next to the gastric cancer among various cancers in males found at th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in the past seven years. This report is a retrospective view of the clinical therapeutic results of the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Especially at the limited stage, the combined therapy revealed higher survival rate than the chemotherapy alone. For a more accurate evaluation. a prospective view, without any bias, of patients selected at random is needed.

연구배경: 소세포 폐암은 비소세포 폐암에 비해 병의 진행경과 및 치료에 대한 반응이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저자들은 지난 7년간(1986~1992) 본원에서 진단된 소세포 폐암환자들을 대상으로, 그 치료성적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직학적 및 세포진 검사상 폐암으로 진단받은 806명 중 소세포 폐암으로 밝혀진 15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력일지 및 우편물 또는 전화를 통하여 102명의 환자에 대한 생사확인과 사망일지 등을 확인하였고 임상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 전체 암환자 수는 8,050명 이었으며, 그 중 폐암환자는 806명(10.0%) 이었고 소세포 폐암환자는 153명으로 전체 폐암환자의 19.0%를 차지했으며, 남녀의 비는 129명: 24명(84.3% : 15.7%) 이었다. 2) 소세포 폐암환자의 연령분포는 60대가 60명(39.2%), 50대가 53명(34.6%)으로 3/4 정도의 환자가 50~60대 사이에 발생했다. 3) 다양한 증상 및 증세를 나타냈으며, 반 수 이상의 환자에서 기침, 객담, 호흡곤란 및 흉통이 있었고 진단방법으로는 128명(83.5%)이 기관지 내시경 및 생검으로 진단 되었으며 ECOG에 의한 수행상태는 $H_2$가 59.5%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H_1$이 30.7%를 차지하였다. 병기 및 위치의 분류는 대개가 limited stage(105명, 68.7%)와 central type(134명, 87.6%) 이었다. 4) 화학요법과 병합요법(항암 및 방사선 치료)을 시행한 군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비교해 본 바 병합요법을 시행한 군이 완전관해 및 부분관해율이 63.4%을 보였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3주기 이상의 화학요법으로 시행한 환자중 limited stage의 경우 5.3개월 extensive stage는 4.6개월을 보여 양군간에 유이한 차이가 없었으나, limited stage 에서 시행한 병합요법 환자의 경우 15개월 1일의 평균 생존기간을 나타내어 limited stage시의 화학요법과 유이한 차이를 보였다. 5) 치료의 유무와 상관없이 시행한 각 병기간 환자의 중앙 생존기간은 limited stage가 10.9개월 extensive stage가 4.8개월을 보여 양군간의 유이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폐암은 현재 국내에서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악성 종양중의 하나로 본원에서의 최근 7년간 전체 암환자 순위 중 특히 남자의 경우 위암 다음으로 많았으며, 그 중 소세포 폐암의 치료성적에 대해 후향적인 방법으로 고찰하여 보고하는 바이며, 특히 limited stage 시 항암 및 방사선치료가 항암단일요법보다 더 생존율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더 정확한 임상고찰을 위해서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