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Analysis of Minor Salivary Gland Tumors

소타액선 종양에 관한 임상적 고찰

  • Lee Chong-Soo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i Jong-Ouck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eung-Ho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Jung Kwang-Yoo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Nam-Joo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이종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최종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이승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정광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이남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Minor salivary gland tumors vary in their primary sites, histopathology and bilogical behavior. Therefore various factors are considered in selecting the treatment modality and predicting the prognosis. The prognosis of milignant tumors of minor salivary glands are worse than that of such lesions of major salivary glands. Authors experienced 26 cases of minor salivary gland tumors(10 benign tumors and 16 malignant tumors) during the past 7 years and analyze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1) The palate was the most common site of origin of minor salivary gland tumors (38.5%). 2)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was pleomorphic adenoma and majority of them occur red in the palate(60.0%) and the remaining occured in the nasal cavity or the paranasal sinuses (30.0%), and the lip ( 10.0%). 3) In the case of malignant tumors the most frequent sites were the nasal cavity or the paranasal sinuses (31.3%) with the following histopathologic frequencies: adenoid cystic carcinoma(56.3%), malignant pleomorphic adenoma(12.5%), mucoepidermoid carcinoma(12.5%), polymorphic adenocarcinoma (12.5%), ep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6.25%). 4) Minor salivary gland tumors have high probability of malignancy and tumor extension is important to their treatment.

최근 7년간 저자들이 치험한 소타액선 종양 26례에 대하여 임상양상과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발생부위를 구개 10례 (38.5%), 비강 및 부비동 8례 (30.8%), 설근부 2례 (7.7%), 협부 점막 2례 (7.7%), 구순 1례(3.8%), 후두개곡 1례(3.8%), 구강저 1례(3.8%), 비인강 1례(3.8%)이었다. 2)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양성 종양 10례, 악성종양 16례이었으며, 양성 종양은 전례가 다형성선종이었으며, 구개에서 6례로 가장 많았고, 악성종양은 비강 및 부비동 5례로 가장 많았으며, 선양낭성암종 9례, 악성혼합종 2례, 점액표피암종 2례, 다형성선암종 2례, 상피근상피성암 1례이었다. 악성화율은 61.5%이었다. 3) 치료는 양성 종양은 모두 적출술을 시행하였고 악성 종양은 광범위 적출술 4례(25.0%), 수술 및 방사선요법의 병합요법 9례(45.2%),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병합요법 1례(5.25%), 방사선 요법 2례(12.3%)등을 시행하였다. 4)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 결과는 근치적 치료를 시행한 8례에서는 무병생존 6례, 유병생존 1례, 유병사망 1례를 보였으며, 고식적 치료를 시행한 6례에서는 유병생존 2례, 유병사망 4례를 보였다. 이상의 성적에서 소타액선 종양은 대타액선 종양에 비하여 악성화 비율이 높고 선양낭성암종의 발생 빈도가 높아 그 침범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고식적 치료의 범위를 확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