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Fertility of Artificial Induced Gynogenetic Diploid Male in Paralichthys olivaceus

유도된 자성발생성 2배체 숫컷 넙치(Parlichthys olivaceus)의 생식 능력 평가

  • KIM Bong-Seok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MOON Young Bo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JEONG Chang Hwa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IM Dong Soo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LEE Young-Don (Marine Research Institute, Che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4.08.01

Abstract

To evaluate the reproductive ability of gynogenetic diploid male. Paralichthys olivaceus. histological analysis of testis. cytological analysis of spermatozoa and fertilization test with normal aggs were studi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gonads of gynogenetic diploid male were histologically normal. and many spermatozoa were observed in their testis. Number of spermatozoa from the control and gynogenetic diploid male were $2.58\times10^9$ and $2.42\times10^9$ cells per 1 ml of milt. respectively (P> 0.05). Amount of milt per kg body weight from the gynogenetic diploid 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P< 0.01) than that from the control male (8.3ml). Size and morphology from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different (P>0.05). More than $80\%$ of fertilization rates and hatching rates were observed when the eggs from the control were fertilized with the gynogenetic diploid male sperms.

자성발생성 2배체 유도 기법과 물리학적 처리 방법에 의해 유도된 자성발생성 2배체 숫컷 넙치의 생식 능력 평가를 위해 2년생 어류를 이용하여 정소의 조직학적 분석, 정자에 대한 세포학적 분석 그리고 양식장에서 산란에 이용되고 있는 일반 넙치 암컷의 난과 수정시켜 얻은 수정 및 발생 능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소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자성발생성 2배체 숫컷은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조직학적 차이가 없고, 정소내에서 정자 변태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성발생성 2배체 숫컷 넙치의 체중 1 kg 당 정액의 양은 20.6 ml 로써 대조군의 8.3 ml 에 비해 두 배 이상 많게 나타났다(P<0.01). 3. 정액 1 ml 당 정자의 수는 대조군에서 $2.58\times10^9$ 그리고 자성발생성 2배체 숫컷 넙치의 경우 $2.42\times10^9$ 으로 나타나 1 ml 당 정세포의 수는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4. 정자의 크기를 조사한 결과 두부의 장경, 단경 및 정자의 길이에서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두 군 정자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외형상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자성발생성 2배체 숫컷 넙치의 수정 및 발생능력 평가를 위해 대조군의 난을 얻어 수정시킨 결과 난질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수정율 및 부화율 모두 $80\%$ 이상으로 나타나 성 유전자에 따른 발생 능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