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of Egg Tray Design to Decrease Eggshell Damage

계란(鷄卵)의 난각파손(卵殼破損) 방지(防止)를 위한 난좌(卵座)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 Ha, J.K.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S.J.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RDA) ;
  • Park, Y.Y.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RDA) ;
  • Hwang-Bo, J. (National Animal Breeding Institute) ;
  • Chung, S.B. (Cheju Experiment Station)
  • Published : 1994.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perical surface of eggs tray and eggshell on breaking strength of egg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egg tray design to prevent eggshell breakag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investigation on the types of 22 egg trays collected from 9 countries(USA, Italy, France, Thailand, Japan, Netherland, Russia, Korea and Swiss), all egg trays except those from Korea were different in their types. 2.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breaking strength for 4 pilot egg trays, type B and D were high in breaking strength. Trays B and D which would fit with the spherical surface of egg so that they could increase breaking strength were most recommendable. Breaking strength was not increased even though egg tray was strong. Thickness of eggshell of experimental eggs used in this experiment have no significance (P>0.05). 3. When eggs are packed and transported in egg tray, the breaking strength will depend on how much spherical surface of egg are covered by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egg tray. Therefore, the inner spherical surface of egg tray must fit to the outer spherical surface of eggs when the egg tray is manufactured. 4. At present, there is only one type of egg tray being used in Korea despite the various egg sizes. In order to minimize the eggshell breakage, however, proper sizes or types of egg trays should be developed for each different categories of the egg size.

난좌(卵座)의 구면(球面)과 난각(卵殼)의 구면(球面)이 계란(鷄卵)의 파각도(破殼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져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1. 9개 국가(國家)(미국, 프랑스, 이태리, 태국, 일본, 네델란드, 러시아, 한국, 스위스)에서 수집(蒐集)한 22종의 난좌형태(卵座形態)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우리 나라의 난좌(卵座)를 제외(除外)한 8개 국가(國家)의 난좌(卵座)는 그 세부(細部) 형태(形態)가 모두 상이(相異)하였다. 2. 4개의 모형난좌(模型卵座)에서 파각도(破殼度)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B형, D형이 가장 파격도(破格度)가 높은 결과(結果)였다. 앞으로 난좌(卵座)를 제조(製造)할시 계란(鷄卵)의 구면(球面)과 난좌(卵座)의 구면(球面)이 서로 알맞아 파각도(破殼度)를 높일 수 있는 본(本) 시험(試驗)의 B형과 D형으로 제조(製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난좌가 견고하다고 해서 파각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었다. 본(本) 실험(實驗)에 공시(供試)한 전체(全體) 계란(鷄卵)의 난각(卵殼) 두께 성적의 통계 처리 결과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난좌(卵座)에 포장(包裝)되어 계란(鷄卵)이 수송(輸送)될 때, 그 계란(鷄卵)의 구면(球面)에 따라 난좌(卵座)의 형(型)이 얼마나 넓은 면적(面積)으로 감쌀 수 있느냐가 파각도(破殼度)를 좌우(左右)하는 중요(重要)한 관건(關鍵)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난좌(卵座) 제조시(製造時) 상단부(上段部) 난중(卵重)이 하단부(下段部) 난좌(卵座) 내부(內部)의 계란(鷄卵)에 미치는 하중(荷重)을 고려해서 난좌(卵座)의 내부구면(內部球面)과 계란(鷄卵)의 외내부구면(外內部球面)이 알맞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4. 현재(現在) 우리나라에서 실시(實施)하고 있는 것처럼 1개의 난좌형(卵座型)으로 대란(大卵), 중란(中卵) 및 소란(小卵)을 공통(共通)으로 사용(使用)하는 것보다는 난중(卵重)에 따른 적정(適正) 난좌(卵座)가 개발(開發)되어 사용(使用) 될 수 있는 방안(方案)도 강구(講究)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