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지역 일부 근로자와 보건담당자의 보건관리에 대한 인식 및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Workers and the Health Personnel on the Health Management in Kyung-In Area

  • 장성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세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Chang, Seong-Si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Lee, Se-H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발행 : 1994.03.01

초록

본 연구는 대행기관의 보건관리를 받고 있는 경인지역 51개 사업장 근로자들 중 무작위로 추출된 247명과 보건담당자 46명의 보건관리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한 것이다. 1992년 12월부터 1993년 2월까지 3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산직근로자는 일반적 직업적 특징상 보건담당자보다 연령, 학력 및 직위 등이 유의하게 낮았다. 2. 생산직근로자는 담당자보다 직업병에 걸릴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고 작업환경에 대해 더욱 열악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작업환경 측정이 유해인자 평가에 유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두 군 모두에서 작업환경 측정이 유해인자를 평가하는데에 유용하다고 생각할수록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3. 보건관리대행에 대한 인식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를 보여서 근로자의 72.6%가 보건관리대행을 받고 있는지를 알지 못하고 있는 반면, 보건담당자의 82.2%가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보건관리대행의 필요성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전체의 79.0%가 보건관리대행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4. 보건교육에 있어 근로자의 73.1%가 보건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반면, 전체의 93.0%가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보건교육의 필요성은 보건교육에 대한 만족하는 정도와 관련이 있었고, 또한 보건교육의 만족 정도는 보건관리대행의 필요성 인식과 관련이 있었다. 5. 두 군 모두에서 현행의 보건관리가 너무 형식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형식성의 탈피와 정기 건강진단에 대한 추후 관리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상으로 미루어 보아, 대행기관의 사업장에 대한 보건관리는 근로자들의 적극적인 자세에 비하여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근로자들이 작업환경의 유해요인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므로써 적절한 태도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보건담당자뿐 아니라 근로자에 대한 보건교육을 포함한 보건관리를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강화시키고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workers in small scale industries on health manage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service by the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system.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247 workers and 46 health personnel in the industries scattered around Incheon were investigated from December 1992 to February 1993.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workers and the health personnel by age, sex, marriage status, job-position and education level. 2.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workers to contract work related dis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ealth personnel, and recognition level of the workers on environmental hazards and on the utility of measuring hazards were lower than that of health personnel. 3. The recognition level on the content of the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syst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orkers and health personnel, 72.6% of the responses from the workers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what the group occupational healthe service system was, but 82.2% of the responses from the health personnel answered that they knew well what it was. And 79.0% of all respondents thought it was necessary for worker's health. 4. Seventy three percent of the respondents from the workers indicated that they had never taken health education. However, 93.0% of all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for the need of health education to promote their health. 5. Current health service system was judged to be insufficient for the demand of workers for better health. Most of the respondents prefered a formal but flexible health service system and they wanted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to be followed up. It was revealed that despite of poor knowledge, the demand of workers for health service was higher than the current supp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ng both health personnel and workers to obtain correct knowledge on the hazards to work enviroment and health management is needed for effective occupational health servi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