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or Evoked Potential Study with Magnetic Stimulation in Ischemic Stroke Patients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Magnetic Stimulation에 의한 운동유발전위 반응

  • Kim, Seong-Mi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uh, Sang-Du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un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ah, Jung-Sang (Departmen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성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서상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이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하정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Published : 1994.12.30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magnetic motor evoked potential (MEP) in the diagnosis of stroke and predicting the motor improvement following stroke. The cortical, cervical and lumbar stimulations were performed in the case of 24 healthy controls and 24 ischemic stroke patients. The central motor conduction time (CMCT) was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 of latency to a target muscle between after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after cervical or lumbar stimulation. There was no case showing no response in controls. But in 11 out of 24 ischemic patients, we could not get cortical MEP. Mean CMCT of abductor pollicis brevis musc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trols and stroke patients in whom MEPs were record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 CMCT of normal controls and that of stroke patients showing MEPs in AH Muscle. MEP Results from testing the stroke patients were correlated with site of lesion, degree of motor weakness and motor improvement after 1 to 2 month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gnetic MEP is easy and useful in electrophysiological test of central motor pathway and is useful indicator for representing the motor weakness and predicting the motor outcome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운동장애의 판단 및 예후 판정에 운동유발전위 (motor evoked potential : MEP)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상대조군 24례와 허혈성 뇌졸중 환자 24례를 대상으로 대뇌피질 및 척추부위에 자기자극을 가하며 단모지외전근 및 무지외전근에서 MEP를 기록하였고 각각의 근육에서 대뇌피질을 자극하여 기록된 MEP의 잠복기에서 척추부위를 자극하여 기록된 MEP의 잠복기를 감한 차이로 CMCT를 산출하였다. 대조군은 24례 모두에게 MEP를 유발할 수 있었고 환자군에서는 24폐 중 무반응을 나타낸 경우가 각 근육에서 11례였다. 정상대조군과 MEP를 유발할 수 있었던 뇌졸중 환자에서 단모지외전근에서의 평균 CMCT는 각각 $8.6{\pm}1.4$msec, $9.4{\pm}2.3$msec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무지외전근에서는 $15.1{\pm}2.1$msec, $18.8{\pm}3.9$msec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추체로 또는 중심피질 병변일 때 혹은 급성기의 운동장애가 심할 때 대뇌피질 자기자극에 무반응을 보인 경우가 많았고, 추체로를 제외한 피질하 병변일 때 혹은 경한 운동장애를 보일 때 CMCT가 정상인 경우가 많았다. 운동장애를 보였던 환자중 급성기의 CMCT가 정상인 경우는 1~2개월 후 상당한 운동회복을 보였고 대뇌피질 자기자극에 반응이 없을 때 운동회복은 미약하였다. 이로 미루어 MEP는 안전하고 간편한 중추성 운동신경계 전달경로의 전기생리학적 검사로써 뇌졸중환자의 운동장애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고 급성기 운동장애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