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ed Rates of NPK Fertilizers Based on Soil Testing for Sesame and Peanut

토양검정(土壤檢定)에 의한 참깨와 땅콩의 삼요소(三要素) 시비량(施肥量) 조정(調整)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An attempt was made to provide the most resonable fertilizer recommendation for sesame and peanut crops based on soil analytical data and yield response to the NPK fertilizer application, which were obtained from field experiments conducted during 1970 to 1993. 1. According to the analytical data of sesame and peanut soils obtained in 1985~1993,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Ca and Mg were increased in sesame soils, but the those components were decreased in peanut soils. 2. The yield index of the plot without N, $P_2O_5$ and $K_2O$ fertilizer were 81-84, 84~92 and 81~92, respectively, as the yield of NPK plot was regarded as 100. 3. Linear or quadratic equation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analysis data and fertilizer application rates were proposed for NPK recommendation. The parameters of soil analysis used in the equations for N, P and K were organic matter,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K, respectively. 4. Revised fertilizer recommendation based on the soil chemical status enable to save the fertilizer application of sesame and peanut soils. The amounts of saved NPK fertilizers were 5.1kg N/10a(increase in 2.8kg N/10a for peanut), 0.9~2.9kg $P_2O_5/10a$, and 1.7~5.8kg $K_2O$/10a.

1970~1993년(年)에 수행(逐行)된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 실태조사(實態調査) 결과(結果)와 포장시험성적(圃場試驗成續)을 이용(利用)하여 참깨 및 땅콩의 2개(個) 유지작물(油脂作物) 주산단지(主産團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과 3요소(要素) 비료(肥料)의 수량반응(收量反應)을 검토(檢討)하였으며, 아울러 토양(土壤)의 화학성분(化學成分) 검정치(檢定値)와 시비량(施肥量)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주산단지(主産團地)의 토양(土壤) 화학성분함량(化學成分含量)을 보면 토양(土壤)의 유기물(有機物) 및 유효인산(有效燐酸)과 치환성(置換性)의 가리(加里), 석회(石灰), 고토(苦土) 등(等) 염기함량(鹽基含量)은 참깨 재배단지(栽培團地)에서는 많았으나, 땅콩 재배단지(栽培團地)에서는 오히려 적었다. 2. 3요소구(要素區) 수량(收量) 100에 대한 각(各) 요소결제구(要素缺除區) 수량지수(收量指數)는 2종(種)의 유지작물간(油脂作物間)에 다소차이(多少差異)가 있어서 질소결제구(室素缺除區) 81~84, 인산결제구(燐酸缺除區) 84~93, 가리결여구(加里缺除區) 81~92로 시비효과(施把效果)는 땅콩에서 높고 참깨에서 낮았다. 3. 포장시험(圃場試驗) 결과(結果)로 부터 얻어진 재배전(栽培前)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과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토양(土壤) 유효인산(有效燐酸)과 인산시비량(燐酸施肥量), 토양치환성가리(土壤置換性加里)와 가리시비량(加里施肥量)과의 관계(關係)에서 부(負)의 직선(直線)내지 곡선회귀관계(曲線回歸關係)인 시비추천식(施肥推薦式)을 계산(算出)할 수 있어서 토양필지별(土壤筆地別) 화학성분(化學成分) 검정치(檢定値)에 의한 적정량(適正量)의 시비추천(施肥推薦)이 가능하였다. 4. 1985~'93년(年)의 토양화학성분(土壤化學成分) 함량(含量)을 작물별(作物別) 시비추천식(施肥推薦式)에 대입(代入)하여 계산(計算)된 조정시비량(調整施肥量)은 현행(現行) 시비기준량(施肥基準量)에 비해 질소(窒素)는 참깨에서 5.1kg/10a 절감(節減)이 가능(可能)하나 땅콩은 오히려 2.8kg/10a 증가(增加) 되었으며, 인산(燐酸)은 참깨 0.9, 땅콩 2.9kg/10a 절감(節減), 가리(加里)는 참깨5.8, 땅콩 1.7kg/10a의 절감(節減)이 가능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