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유산(德裕山) 국립공원(國立公園) 등산로(登山路)의 환경훼손(環境毁損)에 대(對)한 이용영향(利用影響)

User's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in Tôkyusan National Park

  • 서병수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김세천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조경학과) ;
  • 박종민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이창헌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이규완 (광주직할시 시정연구원)
  • Seo, Byung Soo (Dept. of Forest Resources, Chonbuk National Univ.) ;
  • Kim, Sei Ch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 ;
  • Park, Chong Min (Dept. of Forest Resources, Chonbuk National Univ.) ;
  • Lee, Chang Heon (Dept. of Forest Resources, Chonbuk National Univ.) ;
  • Lee, Kyu Wan (Municipal Administration Res. Dept., Kwangju City Government)
  • 투고 : 1994.02.07
  • 발행 : 1994.09.30

초록

본(本) 연구(硏究)는 덕유산(德裕山) 국립공원(國立公園)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매표소 백련사 향적봉-동엽령-칠연폭포 코스를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여 조사 대상지를 매표소-백련사, 백련사-향적봉, 향적봉-동엽령, 동엽령-칠연폭포 등 4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서 등산로(登山路)의 훼손실태(毁損實態)와 향적봉(香績峯) 정상일대의 자연환경(自然環境) 훼손실태(毁損實態) 등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는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매표소-백련사, 향적봉-동엽령, 동엽령-칠연폭포 구간은 경사가 완만한 편이나, 백련사-향적봉 구간은 $30^{\circ}$이상의 험준한 지형(地形)을 이루고 있다. 이용량(利用量)에 의한 이용강도(利用强度)는 매표소-백련사 구간은 "매우 강(强)하다", 백련사-향적봉 구간은 "강(强)하다", 향적봉-동엽령 구간은 "약(弱)하다"로 구분할 수 있었고 동엽령-칠연폭포 구간은 자연휴식년제(自然休息年制) 실시로 "이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2. 등산로폭(登山路幅)은 전체 평균 4.3m이고 이용강도(利用强度)가 강(强)할수록 넓게 나타났으며, 백련사-향적봉 동엽령 구간에서는 배수불량지(排水不良地), 급경사지(急傾斜地) 등에서 등산로가 분기(分岐)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3. 등산로(登山路)의 평균 최대 침식(侵蝕) 깊이와 횡단면적(橫斷面積)은 백련사-향적봉 구간에서 각각 103.8cm, $42,972.9cm^2$로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등산로의 측면(測面) 붕괴(崩壞)도 가장 많아 이 구간의 침식(侵蝕)이 가장 심(甚)한 상태였다. 4. 백련사-향적봉 구간의 등산로는 바위와 라출근(裸出根)이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노면(路面)의 상태가 대단히 불량(不良)하였다. 5.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 중 토양경도(土壤硬度), pH,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이온 (Na, K, Ca, Mg) 등은 등산로(登山路) 토양(土壤)에서 높았고 토양함유량(土壤含有率),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전질소(全窒素), 유효인산(有效燐酸), C.E.C 등은 산림지(森林地) 토양(土壤)에서 높게 나타나 탐방객의 답압(踏壓)에 의한 영향이 뚜렷하였다. 또한 이용강도에 따른 변화가 뚜렷한 것은 토양경도는, 함수율,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으로서 이중 토양경도는 이용강도가 증가할수록 높았고, 나머지 성질들은 이용강도가 증가할수록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6. 정상(頂上)인 향적봉(香績峯) 일대에는 정상부, 헬기장, 야영장을 포함하여 약 $2,000m^2$의 라지(裸地)가 형성(形成)되어 있으며 토양조건(土壤條件)이 매우 불량(不良)한 상태이다. 7. 등산로의 환경훼손(環境毁損)을 유발하는 주요인은 이용강도(利用强度)와 지형적 특성(특히 경사도(傾斜度))인 것으로 나타났다. 8. 동엽령-칠연폭포 구간에서 자연휴식년제(自然休息年制) 실시의 효과(效果)가 부분적으로 인정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r's impacts on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t Ticket Office - Paekryunsa (Temple) Hyangch$\hat{o}$kpong - Dongyupryung - Chilyun Fall area in T$\hat{o}$kyusan National Park. Four trails were sampled in the study area according to the amount of users. Then the user's impacts on trail were measured at each trail. The Ticket Office-Paekryunsa trail was the most used district and followed at Paekryunsa-Hyangch$\hat{o}$kpong trail, Hyangch$\hat{o}$kpong-Dongyupryung trail in descending order. Dongyupryung-Chilyun Fall trail is not used by people because of rest rotation system. The entire width of trail was greater at the more heavily used trail. Maximum depth, cross-sectional area loss, and surface texture and roughness of trail were the highest at Paekryunsa-Hyangch$\hat{o}$kpong trail. Soil hardness, soil acidity, soil moisture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and exchange canon were influenced by trampling. Soil hardness, soil acidity and exchange canon increased in tramples soil, but content of soil moisture and organic matter decreased therei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users and the slope of trail. Bared lands about $2.000m^2$ were appeared by trampling and camping around Hyangch$\hat{o}$kpong. Effects of carrying of rest rotation system for National Park were partly recognized at Dongyupryung-Chilyun Fall trai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