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소재광물의 수급 및 부존 특성

Major Industrial Minerals in Korea : Geological Occurrence and Current Status of Demand/Supply

  • Lee, Dong-Jin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 발행 : 1994.06.01

초록

국내 산업에 활용되는 광물은 약 50종으로서 이 중에서 산업소재광물 (비금속광물)은 27종에 이른다. 산업소재광물이 차지하는 생산금액은 모든 광물자원 (석탄 제외)이 차지하는 금액의 70 %를 상회한다. 1983년부터 1992년까지 광업 및 제조분야의 성장률은 연평균 11.5 % 그리고 GNP는 14.8 %의 성장률을 보인 반면 광물자원의 수요는 2.7배로서 이중 석회석은 생산과 수요에 있어 선두를 차지하며 납석은 수출면에서 수위를 점하고 있다. 생산에 대한 수출비율은 1983년도에 12.2 %에서 1992년도에는 4.2 %로 그리고 수입비율은 84 %에서 38.2 %로 하향되었다. 국내 산업소재 광물자원으로서 중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석회석, 납석 그리고 고령토를 들 수 있는 바, 석회석은 캠브리아기의 풍촌석회암층에 고품위가 부존되어 있으며, 납석은 경상 및 전라지역에 발달된 백악기 유천그룹의 화산암 내에, 그리고 고령토는 경상남북도 지역에 분포된 회장암 풍화대에서 발달 양상을 잘 확인할 수 있다.

The industrial miner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mining sector. More than 70 % of total mineral production come from industrial mineral sector. This paper reviews geological occurrence of kaolin, pyrophyllite and limestone, and current demand-supply status of major industrial mineral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kaolin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Kyeongsang province, formed by deep weathering of Precambrian anorthosite on mountainside of gentle slope. The pyrophyllite mainly occurs in the Kyeongsang and Chulla provinces, formed by hydrothermal alteration of late Cretaceous andesitic and rhyolitic rocks. Pyrophyllite comprises massive and lenticular bodies and contains minor amounts of kaolin, alunite and pyrite, in some places andalusite and illite. The limestone(Great Limestone Series of Cambrian age) is distributed widely in the Kw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s. The limestone bodies are approzimately 70 km long and 3 km wide, elongated NE-ward, and show high grade of CaO content. In 1992, the self-sufficiency ratio of 44 nonfuel (metallic and non-metallic) minerals was no more than 30 percent. However, the ratio of 27 industrial minerals (non-metallic) represents high value of about 72 percent. The export/productjon ratio of the industrial minerals shows decreasing patterns from 12.2 % in 1983 to 4.2 % in 1992. Also the import/production ratio shows rapidly decreasing pattern from 84 % in 1983 to 38.2 % in 1992.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