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s 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in Cell Cultures of Euphorbia splendens Bojer

꽃기린 (Euphorbia splendens Bojer) 배양세포로부터 화청소의 대량생산 및 동정

  • 선정훈 (태평양 중앙연구소) ;
  • 정재동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 Published : 1994.03.01

Abstract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nthocyanin production in cell cultures of Euphorbia splendens Bojer the role of sucrose in pigment production was investigated and pilot scale cultures were attempted to establish mass production system. And also, several instrument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igment extracted from cultured rolls. Anthocyanin production was promoted prominently with concenetrations of sucrose ranging from 3% to 9% while cell growth was maximized at 3% of sucrose . This suggested that high osmolarity of sucrose enhance pigment production. When cells were cultured in two types of bioreactor better cell growth was achieved with draft-type air lift bioreactor than impeller type bioreactor and the pigment productivity was reached to 2.2 mg/L/day. The major pigment extracted from cultured cells was characterized as cyanidin-3-glucoside.

꽃기린 현탁배양에 의한 화청소의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 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들 배양세포를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대량배양을 시도하였으며 생성된 색소의 분리 및 동정을 행하였다. 세포의 생장은 3% sucrose농도에서 양호하였으나 단위세포무게당 색소함량은 sucrose의 농도가 3%에서 9%로 증가함에 따라 증진되었다. sucros는 배양 1일 후부터 glucose와 fructose로 분해되지 시작하며, 고농도로 공급된 sucrose는 배지의 삼투압제로 작용하여 색소의 형성을 촉진하였다. 생물반응기 배양의 경우, 기포발생형 생물반응 기가 세포의 손상을 방지하 양호한 생육상을 나타내어 적합하였고 접종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총 색소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배양기간이 1/2로 단축되었으며 색소의 1일 생산성도 증가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기포발생형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색소생산량은 2.2 mg/L/day를 나타내었다. 한편, 배양세포로부터 생성된 주된 화청소는 cyanidin-3-glucoside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