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해역의 조석 모형

Modelling of Tides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 최병호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고진석 (성균관대, 한국해양연구소 학연과정)
  • 발행 : 1994.03.01

초록

연근해에서의 위성고도계 자료의 정확도가 향상됨에 따라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Schwiderski의 전구적 모형보다 더 정확한 조석모형으로 위성고도계 자료에서의 조석성분에 대한 보정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초기단계로 오오츠크해, 남중국해와 북서태평양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전 해역에 대해 기존의 조석모형보다 해상도가 높은 1/6도 격자체계의 조석모형을 수립하여 반일주조(M$_2$, S$_2$, $N_2$, $K_2$)와 일주조(K$_1$, $O_1$, P$_1$, Q$_1$)의 조석체계에 대한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계산된 결과들과 이 해역에서의 관측치와 기존의 경험적 조사도 및 Schwiderski의 조석도와 비교분석이 이루어졌다.

As satellite altimetry is being progressed to apply with higher precision to maginal seas.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rrection procedures for tidal signals in altimetry with more accurate tidal model than the well-known model of Schwiderski for studying marginal sea dynamics. As a first step, tidal regime of semidiurnal tides (M$_2$, S$_2$, $N_2$, $K_2$) and diurnal tides (K$_1$, $O_1$, P$_1$, Q$_1$) were computed with finer details of formulation of tidal model over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covering the Okhotsk Sea and South China Sea and part of Northwest Pacific Ocean with mesh resolutions of 1/6$^{\circ}$. Computed results were discussed with observations, previous tidal charts and Schwiderski's tidal map of the reg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