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 Level Fluctuation in the Yellow Sea Basin

황해 분지의 해수면 변동

  • PARK, YONG AHN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HIM, BOO KEUN (College of Marine Studies, University of Delaware) ;
  • ZHAO, SONGLING (Institute of Oceanology, Academia Sinica of China Qingdao)
  • 박용안 (서울대학교 해양학과) ;
  • 김부근 (미국 델라웨어 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 자오송링 (중국 과학원 청도시 해양연구소)
  • Published : 1994.03.01

Abstract

A series of radiocarbon dating from intertidal, subtidal, and inner continental shelf deposits investigated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as well as from its offshore sea floor (namely, the eastern Yellow Sea Basin) how (1) the Holocene sea level rise, i.e., the ecstatic sea-level history during the oxygen isotope stage 1, and (2) pre-Holocene sea-level fluctuations during the oxygen isotope stages 2 and 3. Marine geophysical investigations in the Yellow Sea reported a possible development of desert and loses deposits due to dieselization under the cold and dry climate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The Kanweoldo deposit overlain unconformably by the Holocene intertidal deposits, which is mainly exposed along the tidal channels and intertidal flats in the Cheonsu Bay, the west coast of Korea, shows the characteristic cryogenic structure (cryoturbation). Such cryoturbation structure of the Kanweoldo deposit appears to indicate the cold and dry climate under the ecstatic sea-level paleoshoreline standing before and after of the pre-Holocene interstitial period (about 30000 y BP is suggested and its shoreline curve is constructed.

한국 서해의 조수 퇴적층 (조간대와 조하대)과 내대륙붕 퇴적층의 퇴적상 연구에 따른 방사성 탄소(/SUP 14/C)의 연령층에 기초하여, 현세 (Holocene)의 해수면 상승과 선현세 (Pre-Holocene) 해수면 변동의 사실을 규명하였다. 또한 황해 해저 퇴적층의 지구물리적 탐사(탈성파 탐사)에 의하여, 지난 최대 빙하 발달 시기 (Glacial Maximum) 동안의 건조 한냉한 기후하에서 형성된 사막 사구층과 풍성 황토층의 존재를 제안하였다. 황해 천수만 조수 퇴적층 (조간대)에 의하여 부정합적으로 피복되고 있는 간월도층은 한냉한 빙하기후에 의한 결빙구조 즉, 특수한 cryogenic structure를 가지 며, 절대 연령이 (약 16900 yrBP)이다. 고군산도와 신시도의 연근해저 시추자료 (약 20∼23 m의 시추길이)의 암상과 탄성파 자료를 분석하므로서 도출된 퇴적환경을 기초 로 하여 협재된 토탄의 /SUP 14/C 의 연령을 측정하였고 결과적으로 국내에서 처음으 로 선현세의 interstadial (약 3000 yr BP) 전후의 고해수면 상대위치(고해안선)를 제 시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