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portation Network Data Generation from the Topological Geographic Database

GIS위상구조자료로부터 교통망자료의 추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4.10.01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ree methods of generating the transportation network data out of the topological geographic database in the hope that the conversion of the geographic database file containing the topology to the conventional node-link type trans¬portation network file may facilitate the integration between transportation planning mod¬els and GIS by alleviating the inherent problems of both computing environments. One way of the proposed conversion method is to use the conversion software that allows the bi-directional conversion between the UTPS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System) type transportation planning model and GIS. The other two methods of data structure conversion approach directly transform the GIS's user-level topology into the transportation network data topology, and have been introduced with codes programmed with FORTRAN and AML (Arc Macro Language) of ARC/INFO. If used successfully, any approach would not only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and the associated decision-making activities in it, but enhance the productivity of trans¬portation planning agencies.

본 고는 위상관계를 지니는 vector GIS데이터구조로 부터 교통계획이나 도로계획시 필요한 node-link중심의 교통망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 및 활용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RC/INFO GIS와 UTPS(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System)계의 TRANPLAN이 구현을 위한 대표적 소프트웨어로서 선정되었고, 상호간 데이터의 교환을 위한 세가지으 위상변환(Topology Conversion)방법이 제시되었다. 첫번째 방법은 소프트웨어 개발자(ARC/INFO의 ESRI및 TRANPLAN Urban Analysis Group)들이 공동개발하여 별도의 소프트웨어 package로 구축한 프로그램에 대해서 변환절차의 개요 및 프로그램의 단계적 확대방안에 관해서 소개하였고, 둘째로 ARC/INDO에서 사용가능한 node attribute table(NAT)을 별도의 topology로 구축하여 acc attribute table(AAT)및 NAT에 있어서의 node체계를 상호 관련시켜서 node-link교통망 자료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AML(Arc Macro Language)로서 제시했으며, 끝으로 FOR-TRAN언어를 사용한 AAT에서의 node변환 알고리즘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GIS데이터의 위상변환의 필요성은 GIS를 교통부문에(특히 교통수요 예측)직접 이용함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양자사이으 효율적인 데이터의 교환이 그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본고에서는 이들 세가지 방법 상호간의 구체적인 장단점에 관해서는 토의되지 못했지만 세방법중 어떠한 것이든 교통수요 예측모형을 위한 데이터의 변환과정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들 시스템간의 효율적 통합은 교통계획과정에서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