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uspended Sediment on Metabolism of Scapharca broughtonii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의 대사에 미치는 부니의 영향

  • 정의영 (군산대학교 해양개발학과) ;
  • 신윤경 (부산수산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 이주하 (전주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개체크기(작은 개체: 1.0-1.3cm, 큰 개체:4-5 cm), 수온(10, 15및 2$0^{\circ}C$), 염분(7,13,19,26 및 32 $\textperthousand$)에 따른 일반적인 대사경향과, 수온 1$0^{\circ}C$와 2$0^{\circ}C$ 그리고 부니 농도 25, 50, 100, 200, 400 600, 800및 1000ppm에서 15일간 노출시키면서 사망률, 산소소비율, 여수율 및 배설률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일반적으로 피조개의개체 크기는 작은 개체일수록, 그리고 수온이 높을수록 비체중 산소소비율, 비체중 여수율 및 비체중 배설률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염분을 제외하고는 산소 소비율과 여수율은 염분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유사한 경향을 보인 반면, 비체중 배설률은 염분농도가 낮아질수록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2. 1$0^{\circ}C$의 경우 작은 개체에서 LC$_{50}$은 557.11 ppm, 큰 개체에서 856.03 ppm이었고, 20%C의 경우, 작은 개체에서의 LC$_{50}$은 274.55 ppm, 큰 개체에서 346.26 ppm이었으며 1$0^{\circ}C$에 비해 2$0^{\circ}C$에서 특히 1000 ppm이상의 농도에서 사망률이 현저히 증가함으로써 부니에 의한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3.에 비해 2$0^{\circ}C$의 고수온구에서 부니의 농도가 높을수록 폐사율은 높게 나타났으며, 1$0^{\circ}C$와 2$0^{\circ}C$의 두 수온구에서 산소소비율과 여수율에 대한 각 농도별 부니의 영향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2$0^{\circ}C$에서 사망률이 현저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부니농도 100ppm이상에서 산소소비율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암모니아태질소 배설률은 부니농도의 증가에 따라 차츰 증가를 보인후 600ppm이후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