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구조화 용접철강을 사용한 일방향 슬래브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Behavior of One-Way Concrete Slabs Using Structural Welded Wire-Fabric

  • 허갑수 (극동건설 기술연구소 연구원) ;
  • 윤영호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연구원) ;
  • 양지수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
  • 김석중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 정헌수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 발행 : 1994.04.01

초록

주택건설은 극심한 건축자재 부족과 인력수급등의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는데, 이에 대한 문제의 해결방은 중 하나로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철근의 가공조립공정을 보다 간소화하면서 그 기능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구조용 용접철망과 루프형 용접철망을 이용한 공법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방향 슬래브에 콘크리트 예상 압축강도가 $210kg/cm^2$일 때, 최대균열폭과 소성변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사용철근의 종류, 최소철근비를 기준으로 한 인장철근비(${\rho}t$), 주변지지조건, 겹이음길이의 4가지 주요변수로 하여 슬래브의 구조적 특성 및 휨거동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소성변형능력은 이형철근을 사용한 슬래브가 용접철망을 사용한 슬래브보다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고, 겹이음된 슬래브에서는 겹이음길이 30D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균열폭은 용접철망과 루프형 용접철망을 사용한 슬래브가 이형철근을 사용한 슬래브 보다 균열폭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faces many difficulties due to the shortage of building materials and works. Simplifying the stage of processing and assembling reinforcing rods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m in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can be used to settle the difficulties. In the respect, structural wire-fabric and loop wire-fabric is uti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condition of being $210kg/cm^2$ concrete strength,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and flexural properties of one-way concrete slabs by testing with different reinforcing type, tensile steel ratio based with minimum steel ratio, boundary condition and splice length which affect the maximum width of crack and ductility factor. From the test results, the ductility factor is approved that the slabs using deformed bar were much better than that using wire-fabric, and 30D of splice length was appropriate in the slabs as splice length. In the control of the maximum crack width the slabs using wire-fabric and loop wire-fabric were much better than that using deformed ba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