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한실과 현대주택에 있어서 실내조경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nterior Landscape between the Korean Traditional and Modern House

  • 민미혜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조경학전공)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조경학전공)
  • 발행 : 1994.07.01

초록

Presenting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interior landscape, the present studies were performed to survey the status of interior landscape of the Korean traditional and modern house in order to compare each other about the landscaping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terior landscape of traditional houses put emphasis on mental aspects through furnitures, decorative elements, symbolic signs, paintings, writings, and moderate plants. 2. Interior landscape of modern house accentuated visual beauty by using westernized furnitures and decorative elements, and exotic plants. 3. These days we abundantly use exotic interior plants, but we need to develop native plant materials which have visual values and are well grown. 4.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make effects to find and develop Korean interior landscape style which succeed from traditional interior landscape that has more accentuated on mental aspect.

키워드

참고문헌

  1. 양화소록 강희안;이병훈(역)
  2. 한국민속대관 v.2 고대민족문화연구소
  3. 월간꾸밈 no.10월 조선조 상류주택의 주거공간의 의미 분석 고찰 김란기
  4. 분재 김세원
  5. 환경과조경 v.16 선인들의 이상적 거주공간 의식 김용범
  6. 한국미술사 김원룡
  7. 조선조 목공예 김원학
  8. 고반여사 도융
  9. 문화재대관 : 보물편(목조건축) 문화재관리국
  10. 문화재대관: 중용민속자료편 상(가옥) 문화재 관리국
  11. 조선조의 목가구 박영규
  12. 실내원예 방광자
  13. 이조가구의 미 배만실
  14. 한국의 살림집 하 신영훈
  15. 환경과조경 v.11 조선시대 주택마당에 관한 연구 우경국
  16. 동양란 가꾸기 윤병국;손재식
  17. 조경사 윤병국
  18. 조경학 윤병국
  19. 한국원예학회지 v.27 한국의 난초 재배역사에 관한 연구 이종석
  20. 한국정원학회지 v.3 한국의 난에 관한 역사적 고찰 이종석
  21. 한국전통조경 IFLA조직위원회
  22. 전통문양자료집 임영주
  23. 조선시대 문방제구 정양모
  24. 현대건축론 정인국
  25. 한국건축양식론 정인국
  26. 한구군화예술대계 10. 한국주택건축 주남철
  27. 산림경제 2권(국역) 홍만선;홍만식(역)
  28. Interior plantscape Manaker,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