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ctobacillus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Protoplast 생성의 최적 조건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toplast Form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 전억한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식품가공학과·식량자원개발연구소) ;
  • 박범식조재선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식품가공학과·식량자원개발연구소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식품가공학과·식량자원개발연구소)
  • 발행 : 1994.06.01

초록

김치 발효에 주관여 미생물로 작용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에 세포 융합법을 적용시켜 우수한 형질의 재조합체를 얻기 위한 균주 개량의 방법으로 이용하고자 하여 그 기초가 되는 원형질 형성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Protoplast를 생성하기 위하여 세포벽 용균 효소로 lysozyme $40{\mu}$g/ml와 protoplast 형성률이 가장 좋은 생육시기인 15hr으로 결정하였다. $30^{\circ}C$, pH 7.5에서 현저한 흡광도 감소 경향과 protoplast 형성률도 우수하였다. 15% sucrose, 20mM $MgCl_2$, 6mM $CaCl_2$에서는 흡광도 감소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protoplast 형성률은 다른 농도에서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lasma expander로 알려진 gela tin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660nm에서 유의적인 흡광도 감소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단지 proto-plast를 형성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균주 발육을 하기 위한 최소 저지 농도를 조사한 결과 marker로 이용할 수 있는 항생제는 erythromycin($15{\mu}$g/ml), ampicillin($50{\mu}$/ml), tetracyclin($30{\mu}$g/ml), chloramphe-nicol($30{\mu}$g/ml)이었다. Leu. mesenteroides는 모든 조건에서 L.plantarum보다 용균 작용과 protoplast 형성 효율이 낮아 L. plantarum에 준하여 protoplast 생성조건을 결정하였다.

Protoplasts of both strains were produced by lysozyme digestion at $30^{\circ}C$ for 180min. Both strains were treated with $40{\mu}g$/ml of lysozyme in 30mM Tris-HCl buffer(pH 7.5) containing 10% sucrose at the late logarithmic growth phase. It was found that the efficiency of protoplast formation was high at $30^{\circ}C$ and pH 7.5 by measuring the decrease in absorbance. Optimum concentrations of sucrose $Ca^{2+}, \;Mg^{2+}$ for protoplast formation were determined to be 15%, 20mM and 6mM, respectively. Hydrolysis of cell wall and protoplast formation efficiency for L. plantarum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ose for Leu. mesenteroides. The resistances to antibiotics erythromycin and chloramphenicols were chosen as the selection marker for the fusant between L. plantarum and Leu. mesenteroides. Production phase of protoplast in Leu. mesenteroides was also compared with L. plantarum in this pap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