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aration of Lentil Lectin Using Free-Flow Electrophoresis

자유유동 전기이동을 이용한 Lentil Lectin의 분리

  • 류화원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생물화학공학과) ;
  • 이동일장호남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정연구센터)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A Purification device with 30-channel free-flow electrophoresis was assembled to treat samples of 240m1 volume for purification of lentil lectin (LcH) from lentil seeds with no impurities in a silverstained PAGIEF gel. HEPES(50mM)-Ttis(50mM), Cycloserine(50mM)-urea(3M), Histidine(50mM)-urea(3M) were used as ampholytea among which Histidine(50mM)-urea(3M) (pI 7.65) was found best in resolution. LcH is known to be present in the form of LcH-A, LcH-B and the complex of the two. The complex, however, disappeared when urea was added in the ampholytes, which suggested that the complete purification of two isolectins is possible using the present multistep purificaton device.

240ml의 시료를 정제할 수 있는 30channel의 preparative-scale 자유유동전기이동 분리장치를 제작한 후 렌즈콩으로부터 lentil lectin(LcH)을 전기 집속법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분획을 PAGIEF젤에서 silver staining했을 때 불순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을 정도의 고순도 lectin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ampholyte로서 HEPES(50mM) -Tris(50mM) -urea(3M) 등을 사용하였으며 50mM Histidine(pI 7.65)인 경우 가장 분리도가 가장 좋았다. LcH는 보통의 조건하에서 LcH-A와 LcH-B의 두가지 순수한 형태로만 나타났으며 따라서 이 장치를 사용하여 다단 분리 정제를 할경우 두 성분의 완전한 분리도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