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adiation Therapy for Spinal Cord Compression in Hematologic Malignancy

혈암에서 발생한 척추압박증상의 방사선 치료

  • Kim In Ah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 Choi Ihl Boh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 Chung Su Mi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 Kang Ki Mu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 Kay Chul Seo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 Choi Byung Ok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 Jang Ji Youn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 Shinn Kyung Sub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 Kim Chun Ch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St. Mary's Hospital)
  • 김인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 ;
  • 최일봉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 ;
  • 정수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 ;
  • 강기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 ;
  • 계철승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 ;
  • 최병옥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 ;
  • 장지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 ;
  • 신경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 ;
  • 김춘추 (가톨리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4.10.01

Abstract

Spinal cord compression, an oncologic emergency, is a rare complication of hematologic malignancy Our experience was obtained with a series 32 Patients following retrospective analysis for assessing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and identifying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n treatment outcome. Diagnosis was usually made by means of radiologic study such as myelography or computerized tomography (CT)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neurologic examination. Five cases were diagnosed by subjective symptom only with high index of suspicion. In 31 cases, the treatment consisted in radiation therapy alone and the remained one patient had laminectomy before radiation therapy because of diagnostic doubts. Total treatment doses ranged from 800 cGy to 4000 cGy with median of 2000 cGy. Initially large fraction size more than 250 cGy were used in 13 patients with rapidly progressed neurologic deficit. The clinical parameters considered in evaluat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were backache, motor-sensory performance and sphincter function. Half of all patients showed good response. Partial response and no response were noted in $37.5\%$ and $12.5\%$, respectively. Our results showed higher response rate than those of other solid tumor series. The degree of neurologic deficit at that time of diagnosis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treatment outcome. The elapsed time from development of symptoms to start of treatme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outcome. But histology of primary tumor total dose and use of initial large fraction siz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 on the outcome. These results confirmed the value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especially in radiosensitive hematologic malignancy.

최근 혈액암에 있어서 적극적인 복합항암요법및 골수이식등으로 장기 생존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과거에 흔하지 않았던 합병증, 특히 척추 신경의 침범으로 인한 압박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혈액종양과 고형종양간에 방사선 감수성의 현저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척수압박증상에 관한 대부분의 보고들이 혈액종양을 따로 구분하여 분석하지 않았으며, 충분한 수의 혈액종양환자를 대상으로 한 보고가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1988년부터 1993까지 척수압박으로인해 응급방사선치료를 받은 32명의 혈액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여 치료결과 및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신경학적 진찰이나 방사선학적 검사 (척수조영술,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촬영)로 진단된 경우가 27례 이었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을 중심으로 'high index of suspicion' 으로 진단한 5례를 포함하였다. 발병당시 조직학적 진단이 없어 수술을 시행한 1례를 제외한 모든 환자가 방사선 단독으로 치료받았으며, 조사량의 범위는 800 cGy 에서 4000 cGy로 중앙값은 2000 cGy 이었다. 혈액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고려하여 200 cGy이하의 분할조사량이 사용되었으며, 신경학적 증상의 진행속도_가 빠른 13례에 있어서는 치료초기 2회 내지 3회에 걸쳐 250 cGy 이상의 고분할선량이 사용되었다. 전체환자의 $50\%$에서 좋은 반응을 보였고, $37.5\%$에서 부분반응을 보였으며, $12.5\%$는 치료에 반응이 없었다. 이러한 반응율은 문헌에 보고된 고형암에 비해 높았으며, 혈액종양만을 대상으로한 다른 보고들과 유사하였다. 진단당시 신경학적증상의 정도가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였고, 증상의 출현에서 치료시작까지 소요된 기간도 치료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조직학적 진단의 종류, 총방사선량, 초기고분할선량의 사용여부등에 따른 치료결과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