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BYUNG' in the view of Oriental Medinine

한의학에서 본 홧병의 해석

  • Kim Jong-Woo (Departmen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Kyung Hee Medical Center) ;
  • Whang Wei-Wan (Departmen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Kyung Hee Medical Center)
  •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황의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4.12.05

Abstract

Hwabyung is a culture-related disease generally know among people in Korea,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done by the Psychiatrists and by the Oriental Medical Doctors. While the Psychiatrists explain the Hwabyung as a disease having a unique patholoical process, the Oriental Medical Doctors explain it as a symptoms having the character of fire. When interpreted in Oriental Medical point of view, this can be concluded as 1)the cause of the disease is the depression of liver-energy(肝氣鬱結) induced by emotional suppression, 2)the reason why the disease occurs mostly to female is that they usually fail overcoming stresses and have physical and visceral weaknesses, 3)the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the dynamics of fire, because the disease originates from the rising character of fire and from the inadequit supression of extreme heart-fire(心火) by the kidney-wter(腎水), 4)the reason why the disease goes through chronic process is because of the complexed emotions, converted fire caused by prolonged emotional disorder and inapropreate supression of fire with grow older. This results suggest thst the cooperative study of the clinical examination of the Psychiatrsis and the study on the fire by the Oriental Medical Doctors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ocess of the disease, the pathological procedure, the prognosis and the method of treatment.

홧병은 민간에서 많이 통용되는 한국의 문화관련질환으로 그간 정신과의사와 한의사 사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정신과의사는 홧병을 특유한 병리적인 경과를 밟는 '병'으로의 의미로 설명한데 반해 한의사는 화의 양상을 가진 '증'의 개념으로 이를 해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저자는 기존의 홧병연구를 바탕으로 한의학적으로 해석을 하여볼 때, 발병원인은 지속된 억울된 감정으로 인한 간기울결로 말미암고, 홧병의 발생이 여성에게 많은 까닭은 여성이 스트레스를 잘 풀지 못하며 생리적, 장기적 취약점이 있으며, 화의 위로 상승하는 성질과 병이 신수가 심화를 억제하지 못하는데서 비롯하므로 증상이 화의 역동성과 연관된다는 점, 그리고 발병이 만성화의 경과를 밟는 이유는 복합감정이 문제가 되고 또 감정이 오래되어 화로 바뀌며 나이가 들어 수가 화를 억제하지 못하는 시기에 발병한다는 점으로 홧병을 해석할 수 있었다. 이는 정신과의사의 임상적 경과의 관찰과 한의사의 화에 대한 연구가 상호의 협조가 병의 경과와 병리기전 예후 및 치료대책을 정립해 나가는데 있어서 더욱 필요함을 제시해 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張氏醫通 張로
  2. 대한한방내과 학회지 v.9 no.1 Stress와 火에 關한 東西醫學的 考察 文충模;金知赫;黃義完
  3. 肝系內科學 金秉雲
  4. 東醫腎系學 杜鎬京
  5. 東醫病理學 文濬典
  6. 漢方婦人科學 宋炳基
  7. 새 우리말 큰사전 신기철
  8. 스트레스병과 火病의 한방치료 조홍건
  9. 東醫寶鑑 許俊
  10. 東醫精神醫學 黃義完
  11. 精校黃帝內經 洪元植
  12. 동의학사전 김동일
  13. 東洋醫學大辭典 謝觀
  14. Chinese-English Glossary of Common Term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u Ming
  15.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4 no.1 火病에 對한 文獻的 小考 具炳壽;李鐘馨
  16.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3 no.1 火病에 對한 東醫學的 考察. 김진태
  17. 신경정신의학 v.25 보길도에서의 홧병에 대한 연구 민성길;김진학
  18. 대한의학협회지 v.29 홧병에 대한 진단적 연구 민성길(등)
  19. 대한의학협회지 v.30 홧병에 대한 임상적 연구 민성길(등)
  20. 신경정신의학 v.28 정신과의사 및 한의사들의 홧병에 대한 개념 민성길(등)
  21. 신경정신의학 v.28 홧병의 개념에 대한 연구 민성길
  22. 신경정신의학 v.29 홧병에 대한 일 역학적 연구 민성길(등)
  23. 신경정신의학 v.32 홧병에 있어서의 방어기제와 대응전략 민성길(등)
  24. 松齊 李鐘馨 停年退任論文集(松齊醫學會) 火(熱)病에 總括 李鐘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