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eel Reconstruction by Microsurgery

미세수술을 이용한 발뒤꿈치 재건

  • Lee, Kwang-Su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Huh, Chang-Yo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Hak-Y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uh, Jeong-Da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이광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허창룡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학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서정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4.11.03

Abstract

The heel, with its specialized fat for shock absorption at heel strike and large surface area for balance and weight bearing, is a important component of normal ambulation. Despite of distinguished improvement in the field of microsurgical free flaps, the choice of reconstruction of the heel has been remained controversial. We reviewed 22 cases of the heel reconstruction using vascularized free flaps from January, 1980 through May, 1993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of Korea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tiology was traumatic in 21 cases, and chronic ulceration due to burn in 1. 2. The arteries used in free flaps were 11 dorsalis pedis arteries, 2 deep circumflex iliac arteries, 2 supeficial iliac arteries, 2 branches of lateral femoral circumflex iliac arteries, 2 radial arteries, and 3 thorcodorsal arteries. 3. The mean size of the vascularized bone was $4.5cm{\times}3.5cm$, and that of skin flap was $12.1cm{\times}9.2cm$. 4. Of the 22 cases, 19 had a successful outcome and 3 in failure, the causes of failure were thrombosis and infection.

저자들은 1980년 1월부터 1993년 5월까지 종골부위의 피부결손이나 또는 골결손을 동반한 연부조직 손상이 있었던 총 22례 환자에 대하여 유리피판술 또는 생골및 생피부편 이식술을 시행하고 최저 1년 이상 추시하여 다음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리 피부편의 크기는 최저 $7cm{\times}6cm$에서 최대 $28cm{\times}10cm$로 평균 $12.1cm{\times}9.2cm$였고, 유리 골편의 크기는 각각 $4cm{\times}3cm$, $5cm{\times}4cm$였다. 2. 재건술에 이용된 방법으로 유리 피부피판술은 족배 비판 11례, 서혜부 피판 2례, 전완부 피판 2례였고, 유리 피부근피판술은 활배근 피부근피판 3례, 대퇴근막장근 피부근피판 2례였으며, 골결손을 동반한 연부조직 손상인 경우 2례에서 생장골 피부편을 이식하였다. 3. 총 22례중 19례에서 유리편이 생존하여 86.4%의 성공율을 보였으며, 수술후 혈전증 2례와 감염이 발생하였던 1례에서 실패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기 어려운 발뒤꿈치의 연부조직 또는 골결손의 치료로서 미세수술을 이용한 유리편 재건술이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되며, 발뒤꿈치의 감각신경 회복에 대하여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