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Growth and Yield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by Planting Time, Mulching, and Planting Density

식방풍(植防風)의 파종기(播種期), 피복(被覆), 재식밀도(栽植密度)에 따른 생육(生育)과 수양(收量) 변화(變化)

  • Chung, Sang-Hwan (Gyeongbug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Ki-Jae (Gyeongbug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Suh, Dong-Hwan (Gyeongbug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Lee, Kwang-Seok (Gyeongbug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oi, Boo-Sull (Gyeongbug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fiel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time, mulching materials and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Peucedanum japonicum. The optfimum planting time for yield increase at Kyungbuk area whether the plant was grown under non-mulching or black P. E. mulching condition. Black polyethylene (P. E) film mulching was effective to promote emergence and growth, and dry root yield in the P. E. mulching was 10% higher than that in the non-mulching condition. The yield in the $20{\times}15cm$ planting density was 50% high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30{\times}20cm$.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2년까지 2년간 경상북도 농촌진흥원 특용작물 시험포장에서 봉화 지방종의 식방풍을 공시하여 무피복 파종시기 및 피복 재료와 흑색비닐피복 파종기, 재식밀도를 구명키 위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피복 파종기는 관행 3월 30일 파종보다 3월 20일 파종이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이 양호하였고 건근수량이 8%나 증수되었다. 2. 흑색비닐피복이 무피복에 비해 출현기간이 단축되고 주근장, 근직경, 건근비율이 높아 건근 수량이 10%나 증수되었다. 3. 흑색비닐 파종적기는 관행 3월 30일의 10a당 건근수량이 548kg인데 비해 3월 20일 파종에서 6% 증수되었다. 4. 식방풍의 재식밀도는 관행 $30{\times}20cm$의 10a당 건근수량이 388kg인데 비해 $20{\times}15cm$가 50% 증수되었으며 10a당 재식주수는 3.333주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