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hal growth, auxiliary cell development and hyphal healing proces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Gigaspora and Scutellospora genera

Gigaspora 속(屬)과 Scutellospora 속(屬) 아버스큘 균근균(菌根菌)의 균사생장(菌絲生長), 보조세포 발달(發達), 손상된 균사재생(菌絲再生)의 과정(過程)

  • 가강현 (산림미생물과, 임업연구원) ;
  • 구창덕 (산림미생물과, 임업연구원) ;
  • 이창근 (산림미생물과, 임업연구원)
  • Published : 1994.03.30

Abstract

Hyphal growth, auxiliary cell development and hyphal healing process of Gigaspora margarita, Scutellospora heterogama and S. verrucosa were investigated. The germinated hyphae from spores grew on the surface and the bottom of agar media. The hyphal growth on the surface stopped 19 to 23 days and the growth on the bottom 40 to 51 days after spore germination. Auxiliary cells began to develop 7 to 9 days after the spore germination in the media. The auxiliary cells almost always developed on the tip of a hypha branched from a secondary hypha. The cytoplasmic streaming rates in the hyphae of G. margarita and S. heterogama were $2.7\;to\;3.3\;{\mu}m/s\;and\;3.8\;to\;4.3\;{\mu}m/s$, respectively. The hyphae artificially cut were healed by connecting with a hypha grown from the spore-side hypha. We may suggest that the wound healing process of hyphae should b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host plants an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for a long period of time.

아버스큘 균근균인, Gigaspora margarita Scutellospora heterogama, S. verrucosa의 포자를 발아시켜서 균사의 생장, 보조세포 발달 그리고 절단된 균사의 회복과정을 조사하였다. 발아된 균사는 배지의 표면과 내부 및 바닥에서 생장하였으며, 배지표면에서는 19-23일째, 배지바닥에서는 40-51일째에 생장을 멈추었다. 보조세포는 포자 발아 후 7-9일째에 2차 균사에서 새로 나온 균사 위에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배지의 표면이나 바닥, 그리고 배지속에서도 발달하였다. G. margarita와 S. heterogama의 원형질 유동속도는 각각 $2.7-3.3\;{\mu}m/s$$3.8-4.3\;{\mu}m/s$이었다. 균사가 절단되면 포자쪽 균사의 끝 부분에서 새로운 균사가 뻗어나와 끊어진 부분을 다시 연결하여 계속 생장하였다. 이러한 절단된 균사의 회복 과정은 균근균이 기주식물과 오랜 공생관계를 맺으면서 영양적으로는 절대적으로 식물에 의존함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