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f Deaths in Hospitalized Patients for Pulmonary Tuberculosis

폐결핵으로 사망한 환자들의 치료경력

  • Oh, Seung-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oon, Ki-H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Yoo, Jee-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ang, Hong-M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오승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기헌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지홍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홍모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3.12.31

Abstract

Background: After the introduction of more potent antituberculous drugs and the nation-wide tuberculosis management the prevalence rate and mortality rate of pulmonary tuberculosis has been reduced continuously. But we still experienced many patients who succumbed to this disease. So we investigated the causes of treatment failure and death of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to delineate the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Methods: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of 55 patients who died of pulmonary tuberculosis in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Mar. 1979-Feb. 1990. Results: 1) Average duration of illness was $11.9{\pm}10.1$ years. 2) The mortality rate of in-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was 2.09%. 3) 47.3% of patients had been treated more than twice and the sputum positive rate was 52.7%. 4) Causes of death were acute respiratory failure(56.4%), asphyxia by hemoptysis(14.6%), cor pulmonale(9.1%), tension pneumothotax(7.3%), vital organ involvement(9.1%) and coexisting diseases(3.5%). Conclusion: Many of these patients had long duration of illness, persistant sputum AFB and high incidence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as a fatal complication. It seemed that patient's neglect of their disease and inadequate treatment had caused aggravation of tuberculosis.

연구배경 : 항결핵약제가 발전되고 결핵관리에 노력을 기울인 결과 1965년이래 국내의 결핵유병률 및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현재의 표준처방에 의하면 이론상으로는 치료에 실패하는 경우가 거의 없겠으나 실제로는 환자가 약물복용을 조기중단하거나 불규칙하게 함으로써 치료에 실패하거나 사망하는 예가 적지 않다. 방법 : 1979년 3월 부터 1990년 2월 까지 11년간 본원 내과에 입원하여 치료도중 사망한 폐결핵 환자 55명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치료경력과 영상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총 사망환자 55명중 남자 37명, 여자 18명 이며 평균연령은 남자 $55.6{\pm}16.8$세, 여자 $49.5{\pm}17.3$세 이었고, 평균 이환기간은 $11.9{\pm}10.1$년 이었다. 2) 폐결핵으로 입원한 환자의 사망률은 2.09%(55/2.626)이었다. 3) 객담검사결과는 균양성 29명(52.7%), 균음성 17명(30.9%), 확인이 불가능했던 환자 9명(16.4%)이었다. 4) 치료경력이 5회 이상인 환자가 5명(9.1%), 4회 6명(10.9%), 3회 7명(12.7%), 2회 8명(14.6%), 1회 20명(36.4%), 한번도 치료받지 않은 환자 9명(16.3%) 이었다. 5) 사망원인은 급성호흡부전(31명, 56.4%), 객혈에 의한 질식(8명, 14.6%), 폐성심(5명, 9.1%), 긴장성기흉(4명, 7.3%), 중요장기감염(2명, 9.1%), 동반된 질병에 의한 폐결핵의 악화(5명, 3.5%)이었다. 결론 : 폐결핵으로 사망한 환자들의 평균 유병기간이 길고 중증의 균양성환자가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급성 호흡부전으로 사망한 환자도 50.8%이었다. 결국 환자자신의 질병에 대한 부주의와 함께 적절한 치료와 환자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결핵의 악화에 큰 요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