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S-Phase Fraction and Survival Time in Patients with Primary Squamous Lung Cancer

편평상피성 폐암에 있어서 S-Phase Fraction과 생존기간과의 관계

  • Jung, Byung-Ha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ang, Jeong-S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ng, K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Eun-Ta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Hun-Taeg (Department of Microbiology,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on, Hyung-Bae (Department of Pathology, Wonkw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정병학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정성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근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은택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현택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문형배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Published : 1993.12.31

Abstract

Background: DNA content analysis of human solid tumor is now widely performed by flow cytometric study.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potentially important observation in this field is that proliferative activity(S-Phase fraction of cell cycle) may profoundly affect prognosis. Method: S-Phase fraction(SPF) have been measured by flow cytometric method using tumor cells isolated from paraffin embedded tissue.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SPF of squamous lung cancer cell was assessed in 21 patients who died without any specific treatment. Results: 1) Mean survival time of squamous lung cancer patients was 225(${\pm}162$) days. Survival time were shortened, when TNM stage and PS scale were advanced. 2) Mean value of SPF of squamous lung cancer patients was 23.4(${\pm}11.3$)%. SPF had nothing to do with advance of TNM stage and PS scale. 3) Mean survival time of high SPF group(more than 20% of cell proliferation cycle) and low SPF group were 153(${\pm}99$) days and 342(${\pm}180$) days(p<0.01). In each identical TNM stage and PS scale, there were also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urvival time between high and low SPF group. Conclusion: On multivariate analysis including TNM stage and performance status, SPF was the significant and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the primary squamous lung cancer patients group.

연구배경 : 종양세포는 세포의 분열성장이 매우 왕성하므로 정상 세포에 비하여 세포분열 주기 중 S-Phase fraction(SPF)의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같은 종양증에서도 SPF가 높으면 종양의 성장이 훨씬 빠를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종양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원발성 편평상피성 폐암 환자에서 SPF와 생존기간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방법 : 1985년 9월 부터 1990년 3월 까지 원광의대 부속병원에서 원발성 편평상피성 폐암으로 진단받고나서, 수술, 방사선, 화학요법 등을 실시받지 않고 사망한 2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SPF 분석방법은 paraffin에 보관된 병리조직을 처리하여 유식세포 분석법에 의한 DNA histogram으로서 분석하였다. 결과 : 1) 전 대상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225(${\pm}162$)일 이었고, TNM 병기, PS scale이 진행할 수록 단축되는 양상이다. 2) 전 대상군의 평균 SPF는 23.4(${\pm}11.3$)% 이었으며, TNM 병기, PS scale 별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TNM 병기, PS scale의 진행정도와 SPF는 관계가 없었다. 3) SPF 20%를 기준으로 한, high SPF 군과 low SPF 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각각 153(${\pm}99$)일, 342(${\pm}180$)일 로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high SPF군과 low SPF군을 TNM 병기, PS scale 별로 구분하여 비교하여도 역시 유의하게 high SPF군이 low SPF 군 보다 평균 생존기간이 짧았다. 결론 : 편평상피성 폐암 환자에서 종양세포의 SPF가 증가되어 있으면, 예후가 유의하게 좋지 않으며, SPF는 TNM 병기, PS scale과는 무관한 독립된 예후추정 인자로서의 임상적 이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