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Factors of Primary Lung Cancer and Spirometry

원발성 폐암의 위험인자와 폐활량 측정

  • Rhee, Yang-K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wang, Keum-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양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황금만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용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3.12.31

Abstract

Background: Lung cancer and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often coexist in the same person who are elderly and cigarette smoking. There are several reports that the pres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nstitute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lung cancer. Moreover, the association between mucus hypersecrtion and lung cacer has been reported. Method: In 72 cases with primary lung cancer which were confirmed histopathologically at Chonbuk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86 to July 1991,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ometry and lung cancer characteristics. Results: Six cases(8.3%) showed normal lung function, 16(22.2%) cases showed pure restrictive lung disease, 46(63.9%) cases showed moderated obstructive lung disease and 4(5.6%) cases showed severe obstructive lung disease. $FEV_1$(%) was lower in central type than in peripheral type, lower in advanced non-small cell cancer and lower in subjects with phlegm. $FEV_1$/FVC(%) was higher in small cell cancer than in squamous cell cancer and higher in patients without previous pulmonary disease than with previous pulmonary diseas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ung function according to histologic types and smoking history. Lung cancers with $FEV_1$/FVC less than 75% consisted of 35 cases of squamous cell cancer, 7 of small cell cancer(14%), 5 of adenocarcinoma(10%), 2 of large-cell carcinoma and 1 of unclassified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occured more in patients with $FEV_1$/FVC<75% than with $FEV_1$/FVC$\geq$75%(p<0.05). Conclusion: It was suggest that low $FEV_1$/FVC, as reflection of obstructive lung disease, may be at greater risk for squamous cell carcinoma in cigarette smoker.

연구배경 : 폐암과 같이 만성폐쇄성 폐질환도 고령자 및 흡연자에 많으므로 폐암환자에서 동반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더우기 만성폐쇄성 폐질환이 있는 경우 폐암 발생의 위험도가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으며 기존의 폐질환 및 만성적 객담 배출환자에서 폐암 발생의 위험도가 증가된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폐암환자에 있어 폐기능을 고찰해 보는 것이 의미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국내에서의 보고가 거의 없어 폐환기능 상태에 따른 폐암의 위험인자, 종양의 병기 및 위치를 관찰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으로 확진되었고 동시에 폐기능 검사가 시행된 총 72예에서 폐기능 성적을 관찰하고 폐환기능 상태에 따른 세포형태, 해부학적 병기, 종양의 위치 및 폐암의 위험인자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정상폐기능은 6예(8.3%), 제한성 환기장애는 16예(22.2%), 중등도의 기도 폐색은 46예(63.9%), 심한 기도폐색은 4예(5.6%)였다. 2) 편평상피암, 중심성 폐종양 및 진행기의 폐종양, 기왕의 폐 질환 및 만성적 객담 배출이 있는 경우 폐기능이 저하되어 있었으나, 흡연유무 및 흡연량과는 유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3) $FEV_1$/FVC비가 75% 이하인 폐환기능 장애 환자에서 편평상피암의 빈도가 높았고 정상 폐환기능을 보인 환자들에서 소세포암의 빈도가 높았다. 결론 : 이상으로 폐암환자의 대부분에서 폐기능이 저하되어 있고, 이것은 종양의 위치 및 세포형태, 해부학적 병기, 기왕의 폐질환 및 만성적 객담 배출과 관련되었으며 폐환기능 장애를 보이는 흡연자에 있어 편평상피암의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