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f Pulmonary Hamartoma -Analysis of 41 Reported Cases in Korea Including 13 Cases in Severance Hospitol-

폐과오종에 대한 임상적 고찰 -국내 문헌 보고 41예를 포함한 세브란스 병원 13예에 대한 분석-

  • Kim, Sung-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Hong-Ly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Se-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ang, 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Ahn, Chul-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Wo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oe, Kyu-O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ung, Kyung-Young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hin, Dong-Hwan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김성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홍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철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규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정경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신동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병리학교실)
  • Published : 1993.10.31

Abstract

Background: Pulmonary hamartomas are benign tumors that occur in the parenchyma or in the bronchi. They present as a solitary pulmonary nodule(SPN) or as a cause of bronchial obstruction. The incidence, once minimal, is increasing in Korea. To get clinical spectrum about the tumor, we analyzed all the reported cases in Korea since 1964.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findings of 13 patients of intrapulmonary or endobronchial hamartomas in Severance Hospital and of 38 reported cases in Korea published in literatures from 1964 to 1992 retrospectively. Results: Including 17 endobronchial hamartomas, 54 cases were studied. There were 25 men and 29 women, with a mean age of 47.2 years; 45.3 years in endobronchial type and 51.3 years in parenchymal type. Pulmonary symptoms were present in 8 patients (22%) of intrapulmonary type and in all patients of endobronchial type: cough (65%), dyspnea (53%), sputum (35%), fever (29%) in order. On chest X-rays, atelectasis was seen in 10 patients (59%) in endobronchial type; but SPN was noted in 36 patients (97%) of intrapulmonary type. Calcification was present in 7 intapulmonary hamartomas (23%); but is in 2 endobronchial hamartomas (12%). The diagnostic yield was 6 out of 14(43%) in endobronchial ones; 4 out of 7(57%) in intrapulmonary ones. Fifty patients underwent operations as follows: lobectomy (28), enucleation (8), resection (8), bilobectomy (4), pneumonectomy (2). The hamartomas were 1.2 times more common in the right lung; mean transverse diameter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2.3 cm in endobronchial type, 3.8 cm in intrapulmonary ones. Chondroid components were present in 11(65%) of 17 endobronehial ones but in 30(91%) of 33 intrapulmonary hamartomas. No malignant changes were seen perioperative period and up to early 1993. Conclusion: The younger age in endobronchial hamartomas, the preponderance of the female sex and the more incidence in the right lung, and the diagnostic choice of lobectomies were different from the studies of the Western countries.

연구배경 : 폐의 양성종양증 결핵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폐과오종은 외국 부검예에서 보이는 0.25%의 유병율과는 달리 국내에선 드물지만, 고립성 폐결절의 양상으로 나타나는 폐내 과오종 및 기관지 폐쇄 양상을 보이는 기관지내 과오종은 원발성 폐암 및 육아종과의 감별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최근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세침흡인 폐생검술의 보급으로 국내에서도 폐과오종의 발견 보고가 늘고 있어 세브란스 병원 13예를 포함하여 국내 증례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방법 : 1964년 5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국내 문헌에 보고된 폐내 과오종 28예 및 기관지내 과오종 13예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경험한 13례의 폐과오종 증례를 통합하여 그 임상적, 방사선학적, 수술적 및 병리학적 특정들을 외국 문헌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기관지내 과오종은 남녀비는 1:2.4로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고, 평균 연령은 51.3세였다. 폐내 과오종의 남녀비는 1.3:1이고 평균 연령은 45.3세 였다. 폐내과오종에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는 22%로 대부분 우연히 흉부 X-선 촬영상 발견된 경우이나, 기관지내 과오종은 모두 기침, 호흡곤란, 객담 등의 호흡기증상을 호소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기관지내 과오종에서 무기폐를 동반한 병변이 59%, 폐렴양 침윤은 29%였고, 폐내 과오종은 석회화를 보이는 고립성 결절은 23%에서 나타났다. 진단은 기관지내 과오종의 경우 기관지내시경 검사로 43%가 진단되었으며, 폐내 과오종은 세침흡인술로 57%의 확진율을 보였고 그외는 개흉술로 확인되었다. 수술은 폐엽 절제술이 54%, 종양 적출술 및 쐐기형 절제술이 각각 16%였다. 발생 부위는 기관지내 과오종은 우폐에서 13예, 좌폐 4예로 외국 보고와 큰 차이를 보였으나, 폐내 과오종에선 유의한 좌우간의 차이는 없었다. 종괴의 크기는 폐내 과오종에서는 3.8cm, 기관지내 과오종은 2.3c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약 80%의 폐과오종은 연골성이었고, 현재까지의 경과 관찰중 악성 변화나 동반된 악성종양은 없었다. 결론 : 폐과오종은 여자에서 빈발하였고, 폐내 과오종이 기관지내 과오종보다 평균 연령이 더 낮았으며, 방사선학적으로 석회화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고 전체적인 유병율은 매우 낮으며 현재까지 악성 변화는 없음이 외국 보고와의 차이점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