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립성 결핵에서 $Ga^{67}$ 주사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Gallium^{67}$ Scan in Miliary Tuberculosis

  • 김향인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진춘조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용석중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계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im, Hyung-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 Kuk University) ;
  • Jin, Choon-J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 Kuk University) ;
  • Yong, Suk-J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hin, Kye-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발행 : 1993.10.31

초록

연구배경 : 속립성 결핵은 진단에 있어서 단순 흉부 X-선 사진에서 특징적인 미만성 결절을 보이나 조직학적인 확진이 없을때 이와 같은 미만성 결절을 보이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요한다. 그러므로 속립성 결핵의 진단을 위한 그 보조적인 수단으로 임상중상, 이학적 소견, 혈청내 Adenosine deaminase, High-resolutional computerized tomogram 등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속립성 결핵의 임상적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염증성 질환에서 양성으로 나타나는 $Ga^{67}$ 주사가 속립성 결핵의 진단에 유용하며 $Ga^{67}$ 주사의 흡수율 정도가 속립성 결핵의 임상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속립성 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Ga^{67}$ 주사, 단순 흉부 X-선 사진 및 동맥혈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속립성 결핵환자 10예에서 폐의 $Ga^{67}$ 섭취율이 정상보다 모두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단순 흉부 X-선사진에서 등급이 높을수록 $Ga^{67}$ 주사의 등급도 증가되어 이 둘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3) $Ga^{67}$ 주사의 섭취율이 높은 환자일수록 동맥혈검사상 저산소증이 더 심한 것이 관찰되므로 $Ga^{67}$ 주사의 등급이 속립성 결핵의 임상 정도와 비례함을 보였다. 결론 : 단순 흉부 X-사진상 미만성 결절을 보이는 경우 $Ga^{67}$ 주사는 속립성 결핵에서 모두 $Ga^{67}$ 섭취율이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Ga^{67}$ 섭취율에 따른 등급은 임상정도를 반영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Gallium scans was used clinically for detection of inflammatory lesion, granulomatous process and neoplasm and inflammatory activity in interstitial disease. So we had perfomed $Ga^{67}$ scan to see the finding of $Ga^{67}$ scan in miliary tuberculosis and to correlate $Ga^{67}$ uptake with that of the chest PA and the clinical severity. Method: We examined 10 patients who were confirmed as having miliary tuberculosis, with $Ga^{67}$ scan, chest PA and arterial blood gas analysis. Results: 1) Diffuse, positive gallium uptake was seen in all cases of miliary tuberculosis. 2) In most of cases, gallium uptake was noted only at the lung field in spite of hematogenous spread of tuberculous foci. 3)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chest PA and $Ga^{67}$ scan finding was seen. 4) The intimate correlation between arterial hypoxemia and $Ga^{67}$ scan finding was also noted. Conclusion: Gallium scan showed diffuse pulmonary uptake in all cases of miliary tuberculosis and it may provid a useful information to assess the disease severity in miliary tuberculo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