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Experience of Long-term Home Oxygen Therapy

재택산소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임상 관찰

  • Lee, Young-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a, Seung-I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Chun-D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eun-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영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차승익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한춘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창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연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재용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태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3.06.30

Abstract

Background: Long-term low flow oxygen therapy not only increases survival, but also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with chronic hypoxemia. For the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the status of home oxygen therapy, we analyzed clinical experience of 26 patients who have been administered low flow oxygen at home. Method: Twenty-six patients (18 men and 8 women) who have been received long-term oxygen therapy (LTOT) at home were examined. We reviewed physical characteristics, clinical history, pulmonary function test, ECG, arterial blood gas analysis, hemoglobin and hematocrit, types of oxygen devices, inhalation time per day, concentration of administered $O_2$, duration of $O_2$ therapy, and problems in the home oxygen therapy. Results: The underlying diseases of patients were COPD 14 cases, far advanced old pulmonary tuberculosis 9 cases, bronchiectasis 2 cases, a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1 case. The reasons for LTOT at home were noted for cor pulmonale 21 cases, for dyspnea on exertion and severe ventilatory impairment 4 cases, and for oxygen desaturation during sleep 1 case. The mean values of aterial blood gas analysis before home oxygen therapy were $PaO_2$ 57.7 mmHg, $PaCO_2$ 48.2 mmHg, and $SaO_2$ 87.7%. And the mean values of each parameters in the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VC 2.05 L, $FEV_1$ 0.92 L, and $FEV_1$/FVC% 51.9%. Nineteen patients have used oxygen tanks as oxygen devices, 1 patient oxygen concentrator, 2 patients oxygen tank and liquid oxygen, and other 4 patients oxygen tank together with portable oxygen. The duration of oxygen therapy was below 1 year in 3 cases, 1~2 years in 15 cases, 3~5 years in 6 cases, 9 years in 1 case, and 10 years in 1 case. All patients have inhalated oxygen with flow rate less than 2.5 L/min. And only 10 patients have inhalated oxygen more than 15 hours per day, but most of them short time per day. Conclusion: For the effective oxygen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hat education for long-term low flow oxygen therapy to patients, their family and neighbor should be done, and also the institutional backup for getting convenient oxygen devices is required.

연구배경 : 장기간의 저농도 산소요법은 저산소혈증을 가진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저자들은 재택산소요법을 시행하는 환자의 실태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개선책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적관찰중인 환자 26예에 대한 임상적 관찰을 하였다. 방법 : 대상환자는 경북대학병원 호흡기내과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 가운데 가정에서 장기간의 저농도 산소요법을 시행하고 있는 남자 18명 여자 8명 이었으며 재택산소요법을 시행하기전에 신체적 특성과 병력, 폐기능검사, 심전도, 동맥혈가스 및 말초 혈액검사 소견들과 사용중인 산소용기의 종류, 하루에 흡입하는 시간, 투여산소의 농도, 그리고 사용기간 및 문제점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 : 원인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 14예, 중증폐결핵의 후유증 9예, 기관지확장증 2예 그리고 특발성 폐섬유증 1예였다. 산소치료의 시행동기는 폐성심이 21예, 운동시 호흡곤란 및 심한 환기장애 4예, 그리고 수면중 산소포화도가 90%미만인 경우가 1예였다. 치료시작전의 동맥혈가스소견의 평균치는 $PaO_2$ 57.7 mmHg, $PaCO_2$ 48.2 mmHg 및 $SaO_2$ 87.7% 였으며 폐활량의 평균치는 VC 2.05 L, $FEV_1$ 0.92 L, $FEV_1$/FVC% 51.9%였다. 사용중인 산소용기는 산소탱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19예, 산소농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1예, 산소탱크와 액화산소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2예, 그리고 산소탱크와 휴대용산소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4예였다. 산소사용 기간은 1년 미만이 3예, 1년에서 2년이 15예, 3년에서 5년이 6예 그리고 9년, 10년 동안 산소요법을 시행한 경우도 각각 1예씩 있었다. 산소농도는 전예에서 2.5L/min 이하를 사용하고 있었고 하루 사용시간은 10예 만이 15시간 이상을 사용하였고 대부분이 짧은 시간 동안만 산소를 사용하고 있었다. 결론 : 효과적인 산소투여를 위해서는 환자 및 주위의 사람들에게 장기간의 저농도 산소요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산소용기의 구입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