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 of Pulmonary Function Test as a Predicting Factor of Pneumothorax in CT-guided Needle Aspiration of the Lung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경피적 폐침생검시 기흉발생 예측인자로써의 폐기능검사의 가치

  • Kim, Yeon-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Yeung-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ng, Duk-Si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연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창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영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재용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덕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정태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3.06.30

Abstract

Backgrou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 of pneumothorax (PNX) which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CT-guided needle aspiration of the lung, we have examined the frequency of PNX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obstructive ventilatory impairment determined by pulmonary function tests. Methods: A comparative study of analysis of forecd expiratory volume and folw-volume curves, and determinations of diffusing capacity taken before procedure were made between each 16 cases with PNX and controls with no PNX. Each of the control group was matched for sex, age, height, and size and depth of lesion with the former. Results: 1) In comparison of vital capacity and parameters derived from forced expiratory volume curve between two groups, VC and FV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FEV_1$, $FEV_1$/FVC%, and FEF25-75%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NX gorup. Also, in the PNX group, all the observed values of parameters analyzed from flow-volune curve were siginificantly reduced in the PNX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2) The diffusing capacity tended to decrease along with vary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NX group. 3) Patients who had obstructive ventilatory impair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ulmonary function tests experienced a twofold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PNX and a sixfold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chest tube drainage for treatment of PNX compared with those whose results were normal.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xact evaluation of obstructive lung disease determined by pulmonary function test be considered assessing a pastient's risk for PNX in the patients who will take the CT-guided needle aspiration of the lung.

연구배경 : 전산화 단층촬영 유도하 경피적 폐침생검시 가장 많은 합병증인 기흉의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폐기능 검사상 폐쇄성 환기장애 유무에 따른 기흉 발생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방법 : 흉부 X-선 사진상 종괴양음영으로 CT 유도하 경피적 폐침생검을 시행한 예들 중 시술후 기흉이 발생한 16예와 대조군으로 이들과 연령, 신장 및 체중, 흡연력, 종괴의 크기 및 깊이가 비등한 기흉이 발생하지 않은 16예를 대상으로 시술전 측정한 폐활량과 노력성 호기곡선 및 기류-용량곡선에서 계측한 여러 지표들과 폐확산능 성적을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 1) 폐활량 및 노력성호기곡선에서 계측한 지표들 가운데 VC와 FVC는 두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EV_1$, $FEV_1$/FVC% 및 FEF25-75%은 기흉이 발생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기류-용량곡선의 모든 계측치도 기흉이 생긴 군에서 저명하게 감소하였다. 2) $D_{LCO}$$D_{LCO}/V_A$는 개인차는 심하였으나 기흉이 생긴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3) 폐쇄성 환기장애가 있는 경우 폐기능 검사상 정상인 군에 비해 기흉의 발생빈도가 2배 이상이었으며 기흉의 치료로써 흉관삽입술이 필요한 빈도도 6배 이상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경피적 폐침생검시 시술전 폐기능 검사를 통한 폐쇄성 폐질환 유무에 대한 정확한 조사는 기흉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하나의 인자로 고려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