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Lung Cancer

폐암 조직에서의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발현에 관한 연구

  • Kim, Su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Kyung-J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uk-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an, Py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Jong-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o, Hae-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u-O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선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경주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홍석철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한표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종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해정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주옥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3.02.28

Abstract

Background: Since an important component of carcinogenesis is unregulated growth, many investigators have reported the methods to detect cell proliferation in tissues including PCNA. PCNA is a 36 Kd intranuclear polypeptide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cell proliferation. Thus progressive dysregulation of proliferation during carcinogenesis can be directly visualized in the paraffin embedded tissue using immunohistochemistry for PCNA which has an advantage of simplicity and maintenance of tissue architecture. The heterogeneity of PCNA expression is known to be related with proliferating fraction, histologic grade, DNA ploidy, and susceptibility of anticancer drugs, etc. We analyzed the biologic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PCNA in lung cancer tissues. Method: 43 lung cancer tissues, which were resected by surgery and were embedded in paraffin, were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by one hour MicroProbe System and the results were corelated with cell type, stage, site and survival. Result: 1) Suamous cell type showed high positivity (89%) than in adenocarcinoma (54%). 2)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ed to tumor stage was noticed. 3)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imary site and metastatic site was noticed. 4)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12-month survival between positive group and negative group was noticed. Conclusion: From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imunohistochemistry for PCNA expression of routinely processed tissue is a simple technique for the assessment of prolifer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Whether the labelling index has an independent prognostic value and deserves special attention in pathobiological evaluation in lung cancer remains to be investigated from large series with longer follow-up and to be correlated with multiple biological markers.

연구배경 : 암화 과정상의 한 요소는 조절되지 않는 세포의 증식인바 그 증식성을 알아볼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소개되었는데 그중 한 방법이 소위 증식표지인 PCNA를 검색해 보는 것이다. PCNA는 36KD의 핵단백질로서 세포의 증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암세포에선 그 발현성이 잘 조절되지 않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생물학적 성상을 보다 잘 이해하려는 연구들이 시도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암세포에서의 PCNA 발현율은 암세포중 증식세포 비율뿐 아니라 암세포의 분화정도, DNA의 배수성,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 등과 관련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그 방법의 단순성 및 신속성과 아울러 통상적 조직 보관법인 파리핀 포매 절편을 이용하므로써 조직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조직에서 PCNA 발현양상을 조사 분석하여 그 병태 생물학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폐암으로 진단받고 폐절제술로 적출되어 파라핀에 포매된 43예의 폐암조직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PCNA 발현을 조사하여 암세포형, 병기, 병소 종류, 생존율 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1) 세포형에 따른 구분 : 편평상피암은 89%, 선암은 54%의 양성율을 나타내어 세포형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세포암은 1예인데 양성이었다. 2) 병기에 따른 구분 : 병기가 진행할수록 즉 1기에서 보다 2, 3기에서 양성율은 높은 경향을 보이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3) 병소에 따른 구분 : 원발암 부위와 전이 임파절 부위에서의 양성율은 각각 77%와 62%로서 큰 차이가 없었고, 전이 병소를 가진 13예에서 두 부위간의 양성율은 92%와 62%로서 원발부위에서 높으며, 전이 병소를 가진 원발 부위에서의 양성율이(92%) 전이 병소가 없는 원발 부위의 양성율보다(70%) 높았다. 4) 생존 기간에 따른 구분 : 12개월 생존율을 비교할 때 양성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폐암조직에서의 PCNA의 발현은 편평상피암에서 보다 높으며, 전이병소를 가진 원발 부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병기 및 생존율 등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향후 더많은 예수에 대한 검증, 여러 다른 치료를 받은 경우에서의 검증, 더 오랜 기간의 생존율 관찰 및 다른 생물학적 지표와의 비교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충남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