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Two Forms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f. distans and U. pinnatifida f. typica

동일양식장에서 성장시킨 미역의 품종간 형태적특성과 양식효과

  • LEE Kum Yeol (Wando Fisheries Extension Service Statio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SOHN Chul Hyun (Department of Aquacultur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금열 (수산진흥원 완도어촌지도소) ;
  • 손철현 (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3.05.01

Abstract

Two forms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were cultured in order to compa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U. Pinnatifida f. distans was collected from Wando, Korea and U. Pinnatifida f. typica was transplanted from Sanriku, Japan. The latter form grew faster in length and weight than the former. Maximum growth was shown in early April for both forms, and the growth rates decreased after this. Absolute growth rates between the two forms were quite different. Average total lengths at the harvest season was 161.1cm in U. Pinnatifida f. distans and 183.5 em in U. Pinnatifida f. typica and average weights of those two forms were 1,003.4g and 1,314.6g, respectively. The weight of available parts for the salting process of the two forms were 734.8g and 968.5g, respectively. The rates of total length versus the length of the available part of the two forms were $76\%$ and $83\%$,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total length versus weight of the available part of them were $43.8\%$ and $52.7\%$,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 pinnatifida f. typica had more available part per unit weight than that of the U. pinnatifida f. distans for the efficiency of salt processing.

동일한 양식장에서 생육된 두 미역 품종간의 생장 및 형태적 특성과 이에 따른 양식 생산의 효율성을 1990년 11월부터 1991년 4월까지 매월 2회씩 채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두 품종의 미역은 완도 지방에서 널리 양식되고 있는 Undaria pinnatifida Sur. f. distans Miyabe and Okamura(북방형)와 일본 산리꾸 지방에서 이식된 U. pinnatifida Sur. f. typica Yendo(남방형) 이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확기의 평균 체장 및 체중은 북방형의 완도 산은 각각 161.1cm, 1,003.4g이었고, 남방형의 산리꾸 산은 각각 183.5cm, 1,314.6g이었다. 최대 성장 시기는 두 품종 모두 4월 초순으로 그 이후는 생장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두 품종간의 생장 차는 이 시기에 비교적 컸다. 간미역 가공시 사용되는 가용 부분의 평균 무게는 완도 산이 734.8g, 산리꾸 산이 968.5g이었다. 그리고 체장에 대한 가용부의 길이 비율은 완도 산, 산리꾸 산이 각각$76\%,\;83\%$이었고, 체장에 대한 가용부의 무게 비율은 각각 $43.8\%,\;52.7\%$이었다. 따라서 남방형인 산리꾸 산의 형질이 가용 비율 및 가공 효율 면에서 북방형의 완도 산보다 우수하고,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