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 to Coronary Risk Factors in Male Workers

성인남성 근로자의 여가시간 중 육체적 활동양상 및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들과의 관련성

  • Rho, Yun-Kye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eh, Min-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Ko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un, Byung-Yeo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노윤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예민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성국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천병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3.09.01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bserve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its relationship to coronary risk factors (BMI,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fasting blood sugar).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277 adult male workers of an industry in Kyungpook province, Korea. Energy expenditure were measured using modified Physical Activity History questionnaire of CARDIA study by interviewing.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blood sugar level were tested with 5 ml fasting blood and height,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masured. Data on smoking and drinking habits and others were obtained. Geometric mean of leisure time physical energy expenditure were estimated as 212.80 kcal per week for study subjects and only 22.4% of them expended 2,000 kcal or more per week i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Taking walks or hikes and jogging or running were more frequen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ies in study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otal weekly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for all coronary risk factors were not found among three groups. Because energy expenditure of leisure time was generally low in this subjects and most of them were healthy men, we did not found tha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ronary risk factors.

성인 남성들에서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의 분포를 파악하고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들과의 관련성을 보기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일개 제철회사의 남성 근로자 27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CARDIA 연구의 Physical Activity History questionnaire를 변형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에 대해 면담조사하였다. 공복시 혈액 5ml를 채취하여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혈당량을 측정하였고, 신장, 체중 및 혈압을 측정하였다. 흡연습관과 음주습관, 교육 수준 및 그 밖의 사항들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담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에 의한 에너지 소모량의 기하 평균치는 212.80 kcal/week이었고, 전체 대상자 중 여가시간에 2,000 kcal/week이상 육체적 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율은 22. 4%이었다. 설문지의 항목들 중 대상자들이 여가시간에 하는 운동으로 가장 많은 것은 산보나 등산, 조깅 혹은 달리기 등이었다. 전체 대상자들에서 연령별, 교육수준별, 근무기간별, 흡연 및 음주습관별 주당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작업 중 격렬한 노동을 하는 사람들이 안 하는 사람들에 비해 주당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과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들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여가시간의 육체적 활동량을 중등도 이상의 활동을 전혀 안 하는 경우, 총 활동량이 2,000 kcal/week 미만인 경우 그리고 총 활동량이 2,000 kcal/week 미만인 경우의 세 군으로 나눈 후 BMI,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시 혈당량의 평균을 비교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