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er Algal Communities in the Rocky Shore of South Sea of Korea -II. Subtidal communities-

남해의 하계 해조군집 -II. 조하대의 군집-

  • 강래선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실) ;
  • 제종길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실) ;
  • 손철현 (부산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3.03.01

Abstract

Algal community on the subtidal rocky zone of the South Sea of Korea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sequencing zones. The upper subtidal zone was characterized by the wave exposure-tolerant surf wrack(Pachymeniopsis, Gigartina), which formed dense swirling carpet. Its vertical range was from the surface to $3{\sim}5$ meters in depth, and more deeply extended in turbid waters including Sorido, Yokchido, Pijindo, Manjedo. The mid subtidal zone ranging from 5 to 25 meters in depth was characterized by a large brown algal forest (Ecklenia, Sargassum). But it was generally unrecognizable in that turbid waters, in which the vertical limit of vegetation was at most $10{\sim}15$ meters in depth. The low subtidal zone was characterized by a general lack of algal species and was not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mid or sometimes from the upper zone.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in abundance of vegetation between turbid waters and clear waters including Munsom, Kwantaldo, Yosodo, Hongdo, Ch'ujado. In turbid waters the vegetation was much poorer because the tubidity caused from the muddy sediment inhibited an algae to settle down and to grow up. On the basis of the phytogeographical methods using UPGMA, the 10 studied island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Munsom and the others. This floristic discontinuity between the two groups might be caused from the difference of water temperature.

조하대 해조군집은 뚜렷하지는 않지만 상${\cdot}$${\cdot}$하부로 구분되었다. 상부는 S. saganmianum, P. lanceolata, G. tenella, P. capillacea 등의 직립분기형으로 구성되었고, 투명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수심 $3{\sim}5$까지이며, 탁도의 간섭에 의해 확장될 수 있었다. 중부는 투명도가 높은 외양역에서만 형성되었고, 그 범위는 $5{\sim}20m$ 사이이며, E. cava, Sargassum spp. 등의 대형갈조류에 의해 대표되며, 탁도가 높은 외양역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바로 이행하였다. 하부는 투명도가 높은 외양역은 중부와 이질적인 식생으로 보기 어렵고, 환경압박에 따른 양적인 차이로서 이해되었다. 출현종의 식물지리적 분포를 볼 때 본 조사지를 2 구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문섬의 구성종이 지리적 불연속을 이루는 것은 수온차에 의한다고 판단되었다. 문섬의 식생특성은 출현종수는 내만역의 도서보다 적으나 고유종이 많고, 다육질형 대형갈조류의 구성비가 높고, 종다양도 및 생체량은 거문도, 여서도 등과 유사하였다. 문섬을 제외한 9개 섬은 식생의 연속성을 나타내지만, 풍도의 차이가 있었다. 이중 관탈도, 여서도, 거문도, 추자도, 홍도는 투명도가 높은 외양역에 위치하며, 식생의 풍도가 유사하여 외양성 식생구로 뚜렷히 구분할 수 있었다. 반면 만재도, 소리도, 욕지도, 비진도는 비교적 고탁도대 내측에 위치하여 외양도서에 비해 풍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분류군의 구성비로 볼 때 외양성 식생구의 성격을 띄고 있는 이행단계의 식생구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식생의 구분에 있어서 탁도에 따른 조하대 E. cava 군락의 유무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