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stry of Fluid Inclusions of W, Cu and Au-Ag Ore Deposits in South Korea and Its Significance

중석, 동, 금-은 광상 유체포유물의 지화학과 그 의의

  • Moon, Kun-Joo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etarials, Versea Resources Research Group)
  • Received : 1992.12.24
  • Published : 1993.04.30

Abstract

Limited geochemical components have been detected in fluid inclusions from ore deposits in south Korea by non-destructive and destructive analytical methods. Review of fluid inclusion studies display that the homogenization temperatures and salinities are in direct proportion. W and Cu ore deposits tend to show higher homogenization temperatures and salinities than Au ore deposits. Abundant halite-bearing fluid inclusions from the Eonyang Granite producing precious amethyst crystals may indicate that the initial fluid originated from magma is highly saline as shown by the quartz from the granite. Raman Laser microprobe detected $CO_2$, $N_2$ and $CH_4$ in a gold deposit, while these components are hardly detected from other deposits, even though destrucive analysis has dectected $CO_2$, $N_2$, $CH_4$, $H_2S$, and $SO_2$ from most of ore deposits. Individual fluid inclusion shows quite different compon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rge numbers of fluid inclusions should be analysed by Raman Laser microprobe to gain reliable data. Halite-bearing inclusion is hardly found in fluid inclusions from epithermal gold deposits in south Korea. Geochemistry, homogeinzation temperature and salinity of fluid inclusions may be useful to apply for exploration to find a concealed orebody.

국내 광상의 유체포유물에 대한 지화학 조성이 제한적이나마 비파괴 방법과 파괴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 탐지 되었다. 그 동안의 유체포유물 연구 결과는 균질화온도와 염농도가 정비례함을 보여주고, 중석과 동 광상의 것이 금광상의 것 보다 좀더 높은 균질화온도와 염농도를 갖는 경향을 보여준다. 값진 보석 자수정을 산출하는 언양 화강암의 유체포유물은 많은 소금 결정을 딸광물로 가지고 있는데, 이 점에 있어서는 마그마로부터 근원한 최초의 유체는 아주 염도가 높았을 것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셈이다. 파괴분석에 의해 탄산깨스, 질소, 메탄, $H_2S$, $SO_2$가 대부분의 광상에서 검출됨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마이크로푸르브 (RLM) 분석에 의해서는 하나의 금광상에서 탄산깨스, 질소, 메탄이 검출되었을 뿐, 다른 광상의 유체포유물로부터 이들 성분이 분석되지 않았슴은 RLM 분석은 다수의 개별 유체포유물을 대상으로 분석해야 함을 암시해 주고 있다. 한국 금광상의 유체포유물은 소금 결정을 보이지 않는다. 유체포유물의 지화학, 균질화온도 및 염농도는 잠두광체 탐사에 응용 이용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