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군광산산 보울란저라이트에 대하여; 장군 연·아연·은 구성광물의 지식에 대한 기여 (2)

Boulangerite from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Ore-Forming Minerals in the Janggun Lead-Zinc-Silver Ores (2)

  • Lee, Hyun Koo (Department of Geology, College of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Imai, Naoya (Department of Mineral Resources and Engineering, School of Science and Engineering, Waseda University)
  • 투고 : 1993.02.26
  • 발행 : 1993.04.30

초록

장군광산산 보울란저라이트는 침상이나 불규칙한 형태로 방연석, 차골석, 함은 사면동석과 밀접하게 공생하여 남광상에서 산출되며, 특히 남광상 A광체와 B광체 주변의 능망간석대에 그 산출이 뚜렷하다. 어떤 장소, 특히 남광상 B광체 상부에는 방연석, 황철석, 유비철석, 함망간 방해석, 석영 등과 공생하여 작은 정동중에 "머리털"이나 "깃털"모양의 보울 란저라이트 집합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광물의 반사색은 녹회색을 띠고, 반사다색성은 차골석보다 강하고 이방성이 명료하다. 반사율은 공기중에서 파장이 560nm 일 때 $R_{max.}=42.3%$, $R_{min.}=35.7%$이고, 비커스경도 (VHN)는 50g의 하중에서 $146{\sim}173kg/mm^2$이다. 표준시약 (Short, 1941)에 의한 반응에서는 HN03에서는 즉시 흑색으로 변하지만, 그외의 시약과는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8개 시료 23개 입자에 대하여 EPMA로 분석한 결과 $Pb_{56.1}Sb_{25.1}S_{18.5}$, Total 99.6 wt.%이고, S= 11로해 계산된 화학식은 $Pb_{5.16}Sb_{3.94}S_{11}$로서 거의 보울란저라이트의 이상적인 화학식 $Pb_5Sb_4S_{11}$을 만족하고 있다. X-선 회절분석에 의해 얻어진 X-선 회절패턴에 나타나는 주요한 회절선은 $3.73\;{\AA}\;(10)$, $3.22\;{\AA}\;(5)$, $3.03\;{\AA}\;(4)$, $2.82\;{\AA}\;(5)$로서 공간군 $C^5_{2h}-P2_{1/a}$ 과 잘 일치한다. 이상의 장군광산산 보울란저라이트는 그 산출상태와 광물의 공생관계로부터 열수성 연-아연-은광화작용의 최후기에 생성된 광물로 판단된다.

At the Janggun mine, boulangerite usually occurs as needles or irregularly-shaped grains, up to $500{{\mu}m}$ in longer dimensions, closely associated with galena, minerals of a tetrahedrite-freibergite series and bournonite in the peripheries of South A and B orebodies and the zone of manganoan carbonates surrounding them. In some places, especially at the top of South B orebody, it occures as "feather ore" consisting of its fine needles or "hairs" in small drusy cavities together with fine-grained euhedral galena, pyrite, manganoan carbonates, quartz, etc. In reflected light, it is bluish grey in colour exhibiting moderate bireflectance and is strongly anisotropic without any internal reflections. Reflectance in air is $R_{max}=43.2$, $R_{min}=35.7$ percent at wavelength of 580 nm, and VHN: $146-173\;kg/mm^2$ at a 50 g-load. The chemical composition on the average from 23 complete spot analyses by electron microprobe is, Pb 56.1, Sb 25.1, S 18.5, Total 99.6 (all in weight percent); the corresponding chemical formula calculated on the basis of S=11 is; $Pb_{5.16}Sb_{3.93}S_{11.0}$ which fulfils approximately the ideal formula $Pb_5Sb_4S_{11}$. The strongest reflections on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are; $3.73\;{\AA}\;(10)$, $3.22\;{\AA}\;(5)$, $3.03\;{\AA}\;(4)$ and $2.82\;{\AA}\;(5)$ and the pattern is in harmonic with space group $C^5_{2h}-P2_1/a$. From the textural evidence of the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mineral is considered to have been formed at the latest stage of hydrothermal lead-zinc-silver mineralization.

키워드